이 글은 우리나라 4년제 대학의 교양 한자교육을 반성적으로 점검하고, 그 올바른 운용 방향을 모색해본 것이다. 역사적으로 대학의 교양교육은 대학교육의 이념과 목표에 따라 결정되었으며, 시대와 환경의 변화에 대응하여 그 성격과 내용이 조정되어 왔다. 우리나라의 경우, 미국식 제도에 일제의 인적 구성 및 학문적 전통이 결합된 형태였던 해방기의 교양교과는 조화로운 인간성의 완성이라는 본원적 의미가 충분히 고려되지 못하였다. 그 뒤 1972년 공표된 ‘고등교육에 관한 장기종합계획안’에 따라 집중이수 및 분산이수 시기와 대상을 구분하여 실천하게 되었으며, 중핵교육과정(core-curriculum)에 버금가는 포괄적 배분이수제가 정착되었다. 한편 고등교육 수혜자의 비율이 현저하게 증가하고 이른바 세계화, 정보화의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학부제의 도입을 통한 교양교육의 강화에 초점을 맞추게 되었다. 현재 대학 교양 한자(한문) 교과는 국가 주도의 통일된 교육과정에 의해 운영되는 중등한문교육과 달리 각각의 교육이념과 특성에 따라 자유롭게 개설 운용되는 특징이 있다. 또한 한자자격증 취득과 같은 외적 요구에 의해 개설된 교과로서 대학 교양교육의 일반적 목표와 부합하지 않는 현실반영적 교과이기도 하다. 따라서 외적 요구에 변수가 나타나는 순간 존폐의 위기에 내몰릴 확률이 다른 어떤 교과보다 큰 교과인 것이다. 따라서 일반교양교육의 목표에 부합하는 성격과 위상을 확보하는 일이 시급한데, 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한자교육에 관한 교수자들의 인식을 전환하고 유효한 교수-학습 방법을 개발하여 적용하도록 하여야 한다. 또한 한자에 관한 다양한 접근 방식과 연구 성과를 활용함으로써 사전적 지식을 단순히 전달하는 수업이 아니라 지적 탐구의 희열을 맛보고 각자의 전공 분야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학생들의 능력을 계발할 수 있어야 한다. 이상의 논의와 관련하여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 교양 한자 교육의 성격과 교과 목표를 명확히 제시할 것. 둘째, 학습자의 요구와 수준을 파악하고 이에 알맞은 학습목표와 학습내용을 개발할 것. 셋째, 중ㆍ고등학교 교육과정과의 연계성 및 위계성이 고려된 학습교재의 개발과 활용. 넷째, 시대의 변화에 걸맞는 교수법과 교수매체의 개발과 활용. 다섯째, 교과목표와 학습목표의 성취를 확인하고 학습의욕을 높일 수 있는 평가기준과 도구의 마련. 장기적으로는 한문학과 한문교육학을 전공한 이들이 기존의 한자자격시험을 대체할만한 새로운 한자능력 평가도구를 개발하여 사회의 요구에 부응하는 것도 고려해보아야 할 것이다.
The aim of this dissertation was to inspect the status and issue of the chinese characters on general education course in the four-year-course university(C.C.G.E.U) in korea at present. historically, general education course in the university was decided by an idea and object of university education, settled by change of the times and environment. in case of my country, general education in liberation period that mixed american system and japanese scientific convention gave not sufficiently consideration to its essential meaning what completion of harmonized human being. That is divided and practiced an opportunity and subject of concentration system and distribution system, settle down comprehensive distribution system next to core-curriculum in 1972. In addition, this dissertation had an intention to search for and to prospect the remedy for the problems detected in the questions made for the C.C.G.E.U.. All these days, The aim of C.C.G.E.U. was to foster an accomplished person and to extend ability to read and understand. But a practical subject have been increased steadily by the requirement of the times and the change of the education environment lately. The remedy for the problems detected in the questions made for the C.C.G.E.U. is as follows: First, It must obviously present the character and a subject aim of the chinese characters on general education course in university. Second, It must have an accurate grasp of the demand and level, and must develop a studying target and studying contents which are proper hereupon. Third, It must develop the studying teaching material. It considers the connection characteristic and a court rank characteristic in high school curriculum and the day when it makes the college culture teaching material knock-down teaching material. Fourth, It have to develop and to apply the instruction method which appropriate to the change of the time. Fifth, It must prepare a basis of assessment and the tool. it will be confirms accomplishing of the subject ticket and studying aim concretely, and able to inspire a studying desire.
1. 한자교육의 딜레마
2. 대학 교양교육과 교양 한자교육
3. 대학 교양 한자교육의 운용 방향
4. 나오는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