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번에 고전번역원이 출범하면서 종래 한문고전의 번역 방법을 반성하고 새로운 원칙을 수립할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한문고전을 박제된 골동으로 보관하는 것이 아니라 현재적 가치를 지닌 고전으로서 재창출하기 위해서는 원전 자료를 일정한 원칙에 따라 변용하지 않으면 안 된다. 이러한 재창조의 토대를 구축하려면, 원래의 텍스트가 지닌 생성적 의미와 문맥적 의미를 훼손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원전을 현대적으로 가공하면서 완전한 주석을 곁들여두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우선 원 자료의 언어문자와 역사적 맥락에 대한 명료한 분석을 먼저 수행하거나, 동시에 진행시켜야 한다. 번역은 곧 그러한 작업의 일단인 것이다. 이처럼 철저한 문헌 고증을 토대로 하면서 완전한 주석을 곁들인 번역을 ‘학술번역’이라 정의한다. 번역의 문체를 기준으로 학술번역과 비-학술 번역을 구분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한문번역을 위해서는 다음 사항에 유의하여야 한다. ① 전고의 확인 ② 시문의 갈래별 특성 인식 ③ 서사 방식의 이해. 특히 학술적인 번역을 위해서는 특히 아래의 사항을 원칙으로 수립해 두어야 한다. ① 역주자가 원전의 텍스트를 장악하여야 한다. ② 역주를 시작하기 이전에 저본(底本)을 확정하고 역주본에 원문을 첨부할 것인지의 여부를 결정하여야 한다. ③ 원문가공을 l차 가공과 2차 가공으로 구분한다. ④ 역주를 주석과 번역으로 구분한다. ⑤ 역주본에는 색인과 해설을 별도로 붙일 수 있다. 한편 관련 텍스트와의 연계성을 조사 및 명시하여야 한다. ① 편년체 실록자료 등의 거질 문헌자료를 학술적으로 번역하기 위해서는 원 자료나 관련 자료와의 대조가 필수적이다. ② 또 종합정보집성서’를 학술적으로 번역하려고 한다면 초록의 원전을 밝히고 원문과의 차이도 따져 두어야 할 것이다. 전재(轉載) 여부의 적시와 주문(注文)의 수준도 제고해야한다. ① 한문 전적의 텍스트 가운데는 원전이 별도로 존재하여 전재(轉載)나 절록(節錄)에 불과한 예도 있다. ② 주문(注文)의 내용은 원문의 의미를 온전히 이해할 수 있는 수준으로 나아가야 한다. ③ 시문의 텍스트 가운데 저작시기를 추정할 수 있는 것들은 주문(注文)에서 그 추정 연도를 밝혀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④ 문학, 역사, 철학을 비롯하여 정치, 경제, 과학, 기술 등 다양한 학문 분야를 두루 포괄하는 한문고전의 학제적 성격을 반영하는 역주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As the Classics Translation Institute appears, the necessity of reflecting how to translate existing Chinese classics and of establishing new principles became influential. To recreate Chinese classics as those having a current value, the original materials should be transfigured according to a certain principle. To build the foundation for such re-creation, it is necessary to process the original text in the modern sense, with complete notes written, within the range in which the generative and textual meanings of the original text are not damaged. For that, it is required that the clear analysis of linguistic characters and historical context of the original materials must be carried out in advance or simultaneously. Translation is, so to speak, one of such work. Like this, 'Scientific translation' can be defined as translation with complete notes on the basis of thorough historical investigations of literatures.
1. 학술번역의 개념
2. 학술번역의 원칙
3. 관련 텍스트와의 연계성 조사 및 명시
4. 전재(轉載) 여부의 적시와 주문(注文)의 수준 제고
5. 마무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