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사」에서 말하는 태극ㆍ음양 개념은 원래 서법(점치는 법)을 위한 것이었다. 그러나 그 속에는 초보적인 단계에서의 우주론적 함의도 들어있다. 비록 『역전』에서 乾坤을 음양의 氣로 설명하기도 하지만, “역에는 태극이 있으니, 이것이 양의를 낳는다”는 구절의 우주론적 함의는 漢代역학가들의 해석이 있은 뒤이다. 한대 역학가들은 도가 우주론과 음양 오행가의 일련의 범주의 영향 하에 정식으로 태극과 음양을 최초 우주의 발생과 전개의 과정으로 설명하였다. 이러한 변화는 우주와 세계의 구조와 전개를 더욱더 이성적으로 법칙적으로 설명한 것이다. 이러한 이성화의 태도는 宋代 周敦?와 邵雍의 해석을 거쳐 朱熹에게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Tai-ji, Yin-yang concept set forth in Xici was, in original, for divining method. But, it contains even an universal implication in the an initial stage. Although, in Yizhuan, Qiankun is explanied as Qi of Yin-yang, the universal implication of the phrase “Because Yi includes Tai-ji, it bears Liang-yi” appeared after the explanation of divination scientists of Chinese Han Dynasty Era. Divination scientists of Chinese Han Dynasty Era, under the influence of Taoist cosmology and Yin-yang Wu-xing jia, formally explained Tai-ji and Yin-yang as a process of the generation and evolution of the universe. Such a change was to explain the structure and evolution of the universe and the world more reasonably and lawfully. Such an attitude of rationalization, after being interpreted by Zhoudunyi and Shaoyong of Chinese Song Dynasty Period, had a great effect on Zhu-xi.
1. 서론 : 태극ㆍ음양 개념이 역학에서 차지하는 위상
2. 개념의 내원과 영향 관계
3. 『역전』 중의 筮法的 함의
4. 『역전』에 담긴 초보적 우주론의 함의
5. 한대 상수계열 탄생의 배경
6. 筮法으로부터 우주론으로의 전환
7. 결론 : 筮法으로부터 우주론으로 전환의 易學的 의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