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고려대학교 한자한문연구소.jpg
학술저널

'한문지식' 영역 문장의 성분과 구조에 관하여

About the Components and Constructions of Sentences in the Area of 'Chinese Writing Knowledge'

  • 5

본고는 ‘2007년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 ‘한문지식’ ‘문장’에서 다룬 내용 중 ‘문장의 성분과 문장의 구조’를 보충하여 설명한 것이다. 교육과정해설서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작업을 하게 된 이유는 교육과정해설서가 지면상의 이유로 충분한 해설을 다하지 못하였다는 판단 때문이다. ‘문장의 성분’에서는 ‘주어’ ‘서술어’ ‘빈어’ ‘보어’ ‘관형어’ ‘부사어’ ‘독립어’에 대하여 설명하였고, ‘문장의 구조’에서는 ‘주술 구조’ ‘주술빈 구조’ ‘주술보 구조’ ‘주술빈보 구조’와 ‘문장성분의 생략과 도치’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기존의 문법서를 보면 매우 세분화되어 있는데 이 모두를 현장에서 가르칠 수는 없을 것이다. 따라서 학교문법의 차원에서 단순화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This paper gives a supplementary explanation about ‘the components and constructions of sentences’ among the contents covered in ‘Sentences’ of ‘Chinese Writing Knowledge’ in the 2007 Sino?Korean Curriculum. The reason for doing this work although there is the curriculum guide book is that the guide book is considered to fail in giving exhaustive explanations due to its limited space. With regard to ‘the components of sentences,’ we explained ‘subjects,’ ‘predicates,’ ‘objects,’ ‘complements,’ ‘adjectives,’ ‘adverbs’ and ‘independent words,’ and with regard to ‘the constructions of sentences,’ we did ‘subject?predicate construction,’ ‘subject?predicate?object construction,’ ‘subject? predicate? complement construction,’ ‘subject? predicate? object? complement construction’ and ‘ellipsis and inversion of components.’ In existing grammatical books these contents are broken down into minute parts, and it may be hardly possible to cover all of them in the field of education. Accordingly, it is considered desirable to simplify the contents on the dimension of school grammar.

1. 서론

2. 문장의 성분

3. 문장의 구조

4. 도치와 생략

5.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