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고려대학교 한자한문연구소.jpg
학술저널

大學生의 漢文 讀解 學習 經驗에 관한 연구

A Study of Classical Chinese Comprehension Learning Experience of College Students

이 연구는 학습자가 독해 과제를 수행하는 동안 자신의 생각을 말로 표현하게 함으로써 학습자의 독해 양상을 알아보는 연구로, 필자의 선행 연구(「思考口述을 통한 漢文科 讀解 樣相 硏究」)에 이어지는 것이다. 즉, 필자가 선행 연구에서 제시한 후속 과제 가운데 특히 ‘학생의 독해수행 양상’에 주목한 것이다. 한문 독해를 하는 동안 학습자의 사고 과정에서 발생하는 학습 경험을 알아보고, 사고구술이 한문 독해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지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선행 연구에 참여했던 대학생 학습자 가운데 3명을 대상으로 그들의 回想을 통해 사고구술을 실시한 경험을 분석하고자 한다. 선행 연구에 이어지는 본 연구는 이러한 과정을 거친 학습자들이 사고구술을 하는 동안 어떤 학습 경험을 했는지를 내러티브 분석 방법(narrative analysis)을 활용하되, 경험을 되살릴 수 있는 ‘回想’(reminiscence)을 통해 분석하고자 한다. 이 연구는 1) 學習者는 思考口述 活動을 통한 漢文 讀解 學習에서 어떠한 經驗을 하는가? 2) 漢文 讀解 思考口述 活動은 學習者의 漢文 讀解 能力에 어떠한 影響을 미치는가? 하는 의문에서 시작한다. 이러한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고구술을 하며 한문을 독해할 때 가장 어려운 점과 흥미로운 점, 사고구술 활동을 통한 한문 독해 후 달라진 점과 향상된 점 등을 질문했다. 大學生 學習者의 漢文 讀解 學習 經驗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이들이 한문을 독해할 때 느끼는 어려운 점은 처음 보는 한자에 대한 답답함이며, 사고구술 활동의 어려운 점은 글자를 낱낱이 풀이해야 하는 점이다. 2) 사고구술 한문 독해의 흥미로운 점은 머릿속에서 생각했던 것을 자신의 목소리로 표현하는 방법에서 찾을 수 있다. 3) 사고구술 활동을 통해 한문 독해를 한 후 달라진 점은 그러한 경험을 통해 하나하나의 뜻을 모두 새기는 방법에 익숙해져서 讀解 方法이 肯定的으로 변화했다는 점이다. 4) 독해 능력을 신장시키는 데 가장 필요한 요소로 들 수 있는 것은 많은 양의 한자를 알되, 해당 한자가 문장에서 어떤 뜻으로 쓰이는지를 정확히 파악하는 것과, 독해 학습 초기에 사고구술을 하듯이 글자 하나하나를 풀이해 가는 훈련이다. 한문 과목이 “한문 독해와 언어생활에 활용하는 데 필요한 도구 교과”로 규정되어 한문 독해의 중요성이 새삼 강조된 시점에서, 사고구술을 통한 한문 독해 학습 방법은 他律에 의하지 않고 自律的으로 독해 능력을 배양할 수 있다는 점에서 좋은 학습 방법이라 할 수 있다. 향후 漢文 讀解에 대한 다양한 접근과 그 적용에 대한 漢文科 硏究가 더욱 활발해지길 기대한다.

This study is materials that learners think-aloud their opinions during their performing comprehension tasks and connected to the previous study of the author which grasped classical Chinese comprehension aspects. The author especially paid attention to 'Performance aspects of students performing comprehension' among follow-up tasks proposed in the previous studies. For that,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xperience of the three among colleg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previous studies in practicing think-aloud through their reminiscence. This study begins with questions of 1) what kind of experience do the students have in classical Chinese comprehension learning through think-aloud activities, and 2) what effects do think-aloud activities have on classical Chinese comprehension ability. To solve such a study problem, the author asked about the most difficult and interesting point when reading classical Chinese thinking aloud, the changed and advanced point after reading classical Chinese through think-aloud activities, etc. As a result of analysis, classical Chinese through think-aloud is considered a good learning method in that it is able to autonomously cultivate reading comprehension. It is expected that a Chinese writing subject study on various approaches to classical Chinese comprehension and its application becomes more active in the future.

1. 들어가며

2. 硏究 方法 및 硏究 設計

3. 漢文 讀解

4. 大學生의 漢文 讀解 學習 經驗

5. 맺으며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