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는 澤堂 李植(1548~1647)의 산문 중에서 序跋類[序跋文]와 贈序類[贈序文] 작품을 대상으로 주요한 작품 양상과 특징을 살펴보고자 한다. 왜냐하면 이 시기의 문학이라는 것은 관각문을 제외하면 증시ㆍ화답시, 서발류, 증서류 산문이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기 때문이다. 즉 교유를 중심으로 한 문학 활동이 더욱 의미가 있던 시기였던 것이다. 서발류는 때에 따라 타자에 대한 술회나 작자의 문학론을 함께 펼치는 경우도 있으며, 증서류도 의론, 서정, 서사를 뒤섞어 쓰기도 한다. 한마디로 서발류나 증서류 모두 의론, 서사, 서정을 넘나드는 자유로운 장르라고 할 수 있다. 이식은 서발문을 지을 때, 앞 단락과 이어지는 단락 혹은 단락이 건너뛰면서 연결되는 交織이 매우 精選되고 嚴密하였다. 이는 한 저자의 시문집에 대한 소개라는 서발문의 성격에 가장 적합한 편장을 구성한 작자의 세심함이 보이는 부분이기도 한다. 이식의 증서류는 다양한 주제의 의론을 다루고 있다. 그것은 바로 증서인과 피증서인의 관계, 피증서인의 전별 성격과 밀접한 관련 속에서 증서문을 짓기 때문이다. 이식은 증서문을 지을 때, 자신의 의론을 개진하여 길 떠나는 사람의 마음을 위로해 주기도 하는데, 이는 議論를 통해 抒情을 부각시키는 방법으로 증서문과 같이 교유를 중심으로 하는 글에 매우 효과적인 글쓰기라 할 수 있다. 또한 이처럼 증서문이 의론을 자주 끌어와 서정을 술회하지만 그 서정의 강도는 상황에 따라 달라지게 마련이다. 이식의 증서문 중에서 비교적 서정성이 짙은 작품들은 대체로 전송하는 대상이 좌천되는 인물이거나 인척 관계의 인물인데, 이러한 인물들에게 써 준 증서문은 떠나는 이에 대한 위로와 당부, 그리고 이식 자신의 입장과 소망하는 바를 잘 드러내고 있어 교유의 장으로서 가지는 증서류의 성격이 잘 드러난 글이라 하겠다.
In this paper, the head and front of Taekdang(澤堂) Lee, sik(李植)'s works is viewed; especially on given Seo-bal[Prefaces, 序跋] and Jeung-seo[Farewells, 贈序] among his masterworks. Prefaces, in some cases, include author's reminiscences on the other or his theoretics about literature. And arguments, lirycs, or description sometimes are melted into farewells. To sum up, prefaces and farewells are very liberal styles that cover argumentation, poetry, and description. Prefaces attached in front of an anthology are preferentially to make a record of how the work had been written and published. But its form and substance varies with respective writers; sometimes there is great argumentation, sometimes publishing process is mainly subjected, in some cases author's passion to his work is heavily expressed. For Lee, sik(李植), in his prefaces the connections between paragraphs are very strict and accurate. It shows his prudence by choosing best fitting sentences for property of a preface which introduces a writer and his work. A preface of an anthology is relatively non-lyrical; most of it are composed of descriptions of writing and publishing, arguments, criticism, and articles. But Lee, sik(李植) as a genius wrote lyrical prefaces of retrospection and grief on the anthology of a writer who died young. Farewells by Lee, sik(李植) cover many arguments on various topics. His feelings on those topics sometimes intimated, sometimes expressed passionately. It's because he considered the relation between him and sendee, sendee's position and propensity when he was writing. Most of his farewells are either encouraging ones for those who were leaving in purpose of private trip or public duties, or comforting ones for those who were exiled or retired due to political situation. In farewells, writer often pinned down his opinion to solace leaving people, so that he can bring into his intimacy with them by argumentation. That is very effective writing for farewells to perform such social purposes. Though those writings expressed writer's personal feelings by argumentation, the intensity of those feelings were depend on contemporary circumstance. Among Lee, sik(李植)'s farewells, highly passionate ones are mainly for the exiled or relatives. Those ones show his consolations, cares, opinions and hopes very well, so it can be told that his works are properly written farewells for its social purpose.
1. 서론
2. 序跋類 : 結構의 精密과 抒情의 述懷
3. 贈序類 : 議論과 抒情의 按排
4.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