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고려대학교 한자한문연구소.jpg
학술저널

중국 한적의 조선 전래 양상(Ⅰ)

中国汉籍的朝鮮传來樣相(Ⅰ)

  • 10

韓國은 지리적으로 중국의 동쪽 바다건너에 위치해 있고 북쪽으로는 육지와 연결되어 있어 예로부터 중국의 漢文化를 받아들임으로써, 이른바 동아시아 ‘漢字文化圈’의 중요한 한 국가로 역사를 이어왔다. 그래서 고대 우리 선조들은 한자를 이용하여 민족문화를 창조할 때, 일찍이 다양한 중국 문헌을 참고했다. 三國, 統一新羅時代부터 우리보다 앞선 唐나라의 서적이 대량으로 유입되었다. 高麗時代에는 宋ㆍ元의 사상ㆍ문화와 함께 다량의 중국서적이 전래되었는데, 특히 儒家와 佛敎 思想이 널리 유포됨에 따라 儒家의 經典과 佛經이 다량으로 유입되었다. 『高麗史』에 따르면, 중국에서는 전란으로 인해 이미 없어진 전적이 당시 고려에 완전하게 보존되어 있었는데, 이 때문에 宋朝에서 그러한 중국 서적의 복사본을 요청하자 고려왕조에서 제공하기도 했다. 조선시대에도 유교이념의 확립과 체재 정비 차원에서 다양한 서적을 수입해왔다. 이러한 사실을 통해서 과거 한중 양국 서적 교류의 역사가 유구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처럼 우리 민족의 사상과 문화적 초석을 다지는데 있어서 중국 서적의 수입은 상당히 큰 의미를 지닌다. 당시 주로 어떤 서적들의 수입에 관심을 기울였는지 시대별 전래양상을 고찰해보는 것은 오늘날 우리 문화의 역사적 맥락을 이해하고 미래를 설계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 여겨진다. 이러한 문헌의 전래에 대한 이해는 과거 중국문화가 해외로 전래되고 발전된 상황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줄뿐만 아니라, 중국 내 문헌에 대한 정리와 연구에도 대단히 큰 의의를 지닌다.

韩国地理上在中国的东面隔海相望,北面陆地相邻,自古接受中国的汉文化,成为东亚‘汉字文化圈’的重要组成国。因此,古代我们的祖先利用汉字创造民族文化的时候, 就参考了很多中国的文献。从三国、统一新罗时代开始, 就大量引进了唐朝的书籍。高丽时代,随着宋元思想、文化的传入, 大量的中国书籍也一并传入。尤其是随着儒家和佛教思想的广泛流传, 儒家经典和佛经也大量传入过来。根据《高丽史》的记载, 中国因战乱销毁的典籍,高丽当时却完好地保存着,因此宋朝向高丽要求这些中国书籍的复印本, 高丽予以提供。朝鲜时代为了儒教理念的确立和体制整备, 也大量引进和普及多种书籍。在奠定我们民族的思想和文化基石的过程中, 中国书籍的引进具有相当大的意义。考察当时主要引进了哪些书籍, 各个时代的传播情况如何, 将有助于理解我们文化的历史脉络和未来设计。这种关于文献传播的研究,不仅有助于了解古代中国文化的海外传播和发展情况, 还对中国国内文献的整理和研究具有非常大的意义。

1. 서론

2. 中國漢籍의 전래배경과 내용

3.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