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고려대학교 한자한문연구소.jpg
학술저널

漢字에서 베트남 문자로 : 20 세기 중국과 베트남 간 문화교류 과정 중의 중요 사건

  • 12

베트남의 문자가 라틴어식 병음문자[베트남고유문자]로 한자를 대체한 것은 20세기 중국·베트남 양국의 문화교류에 있어 중대한 사건이었다. 베트남에서 수 천 년간 정식문자로 사용해오던 한자는 그 중심 지위를 상실하게 되었고, 심지어는 아예 사라져버리게 되었다. 문자는 문화교류의 중요한 매개이자 환경이다. 한자를 베트남 고유문자로 대체한 것은, 중국과 베트남 양국간의 문화교류에 있어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우리는 이에 대해 정확하게 인식하고 평가할 필요가 있다. 먼저, 베트남 고유문자가 한자를 대체한 시기는, 중국과 베트남이 모두 새로운 역사적 변혁을 맞이하던 시기였다. 20세기 초, 프랑스의 식민지 지배가 더욱 강화되면서, 아시아 사람들이 식민주의에 반기를 들었고, 민족의 독립의식을 쟁취하려는 각성이 일었다. 베트남의 민족주의자들의 문화 방면을 포괄한 전면적인 독립 실현을 위한 노력 또한 끊임없이 강력해졌다. 이러한 까닭에, 비록 라틴어식 병음문자의 사용이 애초 식민통치국인 프랑스가 주도하여 강제적으로 실시한 것이라 하더라도, 이 문자가 습득하기에 간단하고 편리하여, 민중들에게 민족주의 사상을 전파하기에 유리하였기 때문에, 민족주의 경향이 강한 지식인 계층의 환영을 받았으며, 대중들에게 급속히 전파·흡수되었다. 이러한 까닭에 베트남이 병음문자를 사용하기로 결정한 것은, 베트남이 민족 해방을 쟁취하고 독립국가를 건립하여 자주적인 문화를 건설하고자 한 목적이었고, 국가와 민족에 대한 승인을 실현하기 위한 목적이었으며, 이는 20세기 베트남의 역사발전에 지대한 공헌을 하였다. 동시에, 이 시기는 또한 중국의 민족주의 운동이 활발하던 시기였다. 베트남이 과거제도를 폐지하고, 한자사용을 무효화했던 1919년은, 바로 중국의 五四運動과 신문화 운동이 일어나던 시기로, 베트남의 병음문자 사용이 중국에 그리 큰 반향을 일으키지는 않았지만, 일부 중국 지식인들 또한 한자의 병음화를 실행하기 위해 관련 문제들에 대해 고심하기도 하였다. 초기 공산당지도층 인물이었던 瞿秋白은 일찍이 한자의 병음화 방안을 제출한 적이 있다. 중국과 베트남 간의 밀접한 관계를 통해 볼 때, 우리는 베트남의 한자 병음화 실현이 중국의 지식인 계층에게 어느 정도 영향을 끼쳤을 수도 있다는 점을 완전히 배제할 수 없다. 둘째, 베트남 고유문자가 한자를 대체하게 됨에 따라, 중국과 베트남 간의 문화교류에 일정한 영향을 끼치지 않을 수 없게 되었다. 그러나 우리는 또한 이 사건이, 기존과는 다른 새로운 방식으로 양국의 문화교류를 촉진시켰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가령, 베트남 문자가 한자로 대체된 직후에는, 베트남 문자로 된 저작물이 매우 부족했기 때문에, 20세기 초 대량으로 중국고전소설을 번역하는 현상이 등장했다. 비록, 과거에도 상당량의 중국문학작품이 베트남에 전래되었지만, 그 독자층은 주로 베트남의 지식인 계층이었는데, 이는 일반 민중들 가운데 한자에 익숙한 사람들이 적었기 때문이었다. 그런데, 대량의 중국고전문학작품이 베트남 병음문자로 번역된 이후에는, 베트남 문자를 익힌 일반 민중들이 크게 증가하여, 대중들과 직접 대면할 수 있게 되었다. 이 가운데, 윤리·도덕·가치관 등, 중국고전문학작품 안에 담긴 중국의 문화적 요소들이, 은연 중에 전해지는 방식으로, 이미 중국전통문화의 영향을 받아왔던 베트남 민중들의 정서에 깊숙이 스며들었으며, 이로 인해 중국문화는 베트남에 더욱 폭넓게 영향을 끼치게 되었다. 어떻게 보면, 베트남 병음문자가 한자를 대체하게 된 일은 베트남 민중들이 중국 문화를 직접적으로 이해하고 그 장점을 흡수하는 데 유리한 조건을 마련해주었다. 마지막으로, 우리는 또한 최근에 베트남에 등장한 ‘중국어학습의 열기’를 발견하게 된다. 이는 한편으로는 중국·베트남 양국 관계가 긴밀해지고 베트남이 중국의 개혁·개방을 본받아 각각의 영역에 발전을 꾀하고자 하는 필요에 의해서 발생하기도 하였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베트남 지식계층이 자국의 역사를 직시한 결과이기도 하다. 정부에게 한자교육의 회복을 호소하는 范維義 교수가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병음문자가 한자를 대체한 이후에, 사람들이 이미 격찬한 장점들 외에, 베트남 사람들은 선인들과 후대 사람을 구분 짓는 언어와 문화의 담장을 쌓아낸 듯하다. 律·例·契約·判官 등의 어휘들은, 이제는 이미 책에서나 가끔 볼 수 있는 것이 되었으며, 지금 대부분의 베트남 사람들은 이러한 언어의 이면에 담겨 있는 문화적인 哲理와 정신적 가치를 이해하는 경우가 거의 드물다.” 이를 통해 볼 수 있듯, ‘중국어 학습 열기’의 배경 속에서 베트남 정부가 중학교 중국어 교과과정을 보급한 결정은 주로 문화적 ‘근원’을 찾고자 하는 목적에서 비롯되었다. 베트남 정부가 제정한 병음문자는 끊임없이 성숙하고 정비되어, 베트남 민족의 동질감과 국가적 응집력을 강화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되었다. 이러한 까닭에, “두 세세대, 사오십 년간의 기간을 거쳐, 베트남 국민이 모두 한자를 쓸수 있고, 중국어를 말할 수 있게 된다면, 그 시점에서 베트남 문자를 한자화하는 것이 불가능하지는 않을 것”이라는 생각은 현실에 부합되지 않는다고 여겨진다.

20 世纪上半叶,在法国殖民当局的强行推动和越南民族主义者的大力倡导下,由西方传教士创制的拉丁化拼音文字——国语字取代了越南字独立建国后已经沿用上千年的汉字。这是中越两国文化交流历史上的一个重要事件,产生了巨大的影响。越南国语字的推广和汉字被废除并未使两国之间的文化交流中断,相反,大批中国汉文著作,特别是大量中国古典文学作品被翻译成国语字,在越南民众中广为流传,为在新的历史条件下中越文化交流做出了贡献。

1. 绪论

2. 汉字与越南社会文化的发展

3. 从汉字到“国语字”

4. 文字变迁与中越文化交流

5.结论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