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경제의 급속한 발전과 국제적인 지위의 상승으로 인해 세계 각국에서는 중국과 관련된 여러 분야의 연구를 중요시하고 있다. 역사적, 지리적 등 여러 원인으로 인해 중국과 베트남은 “같은 계통”과 “같은 문화”를 가지고 있는 이웃나라이기 때문에 베트남 학자들은 중국연구에 대해 더욱 중요시하고 있다. 이 연구들은 단지 중국만을 연구하여 중국을 이해하는 것이 아니라, 중국문화와 밀접한 관계를 가진 베트남의 전통문화를 중국문화를 통해서 더 깊이 이해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본문에서는 베트남학계의 중국연구에 대해 몇 부분으로 나누었다. 처음에는 베트남에서의 중국 연구에 대한 중요성에 대해 언급했다. 베트남, 일본, 한국, 북한은 모두 漢文化圈에 속하며 예로부터 중국과 긴밀한 관계를 가지고 있어 왔다. 따라서 베트남의 학자들은 중국 연구에 대해 매우 중요한 의의를 가지고 있다고 주장한다. 즉 중국에 대한 연구는 세계 4 대 문명을 계승한 중국을 단순히 이해할 뿐아니라 베트남을 더 잘 알게 된다는 것이다. 이들은 특히 중국과의 관계 속에서 베트남을 이해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중국에 대한 베트남의 연구 방법은 대체적으로 두 가지로 구분된다. 첫째는 전통 문제에 관한 연구이다. 이 연구는 역사, 문학, 철학, 문화 등의 여러 분야에서 진행되고 있다. 둘째는 시기적으로 현대와 당대에 관한 연구이다. 이 연구에서는 정치, 경제, 군사, 외교 등의 분야를 연구한다. 이런 두 가지 연구범위 중에서 최근 들어 중국에 대해 현대와 당대에 관한 문제에 대해 관심이 집중된다고 할 수 있다. 다음으로는 베트남 학계에서 “중국학”의 기원문제에 관한 논쟁에 대해 논의했다. 베트남에서의 “中國學”이라는 학문 분야가 언제부터 시작되었는지에 대해 현재까지 학계에서는 공통된 관점이 있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주장이 존재하고 있다. 어떤 관점에 의하면 “일반적으로 베트남에서 중국학 혹은 漢學의 연구는 베트남의 역사이래 중국과 관계가 있을 후부터 시작되었다.”라는 주장이 있는 반면, 다른 관점에서는 “베트남에서의 중국학은 호치민(胡志明, HO Chi Minh) 시대에 시작되었다.”라는 주장이 있다. 그 다음에는 베트남에서 중국연구에 대한 시대 구분과 특징을 개괄했다. 베트남에서의 중국연구는 크게 고대 베트남, 근현대 베트남, 당대 베트남 세 시기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고대 베트남 시기는 다시 “北屬時期(秦代부터 968 년까지)”와 “자주 독립시기(968-1884)” 두 시기로 나뉘고, 근대 베트남시기는 “프랑스 식민지시기”에 해당하며, 당대 베트남 시기는 발전시기·중단시기·1991년 중국-베트남 간 관계 정상화 이후 시기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본고는 베트남의 중국연구를 이 세 시기로 구분하여 그 특징을 분석해보았다. 끝으로 베트남에서의 중국학 연구 현황을 조사했다. 이 부분에서는 당정(黨政)의 정책연구 기관 및 학술 연구와 교육방면을 중심으로 중국학 연구 기관을 살펴 이들의 성과를 정리하고 개선점을 제시했다. 지리적·역사적 원인 등으로 인해 베트남은 예로부터 중국에 대한 연구가 있어 왔다. 그 연구 분야는 매우 다양할 뿐 아니라 상당히 심도 깊은 연구 수준을 가지고 있어 세계적으로 중국 연구에 있어서도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지난 세기 70-80년대에 중국과 베트남 양국 관계의 변화는 베트남에서 중국 연구에 있어 좋지 못한 영향을 주었다. 그러나 1991 년 양국 관계가 정상화되면서 베트남에서 중국에 관한 연구는 전반적으로 발전하게 되었고, 아울러 많은 연구 성과를 얻을 수 있었다. 그렇지만 이 연구성과 중에는 계속적으로 개선되어야 할 문제가 있는 것도 사실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필자는 여러 가지의 환경이나 조건 등이 보다 나아짐에 따라 베트남에서 중국에 관한 연구가 반드시 더욱 발전할 것이라 확신한다.
随着中国经济的高速发展以及中国在国际舞台上的地位的不断提升,世界各国越来越重视对于中国各领域问题的研究。由于历史和地理等因素,中国和越南可以说是“同种”、“同文”的一对邻邦,因此中国研究对于越南学者来说尤为重要。他们主张研究中国不仅是为了了解中国,更重要的是想更加深入地了解那些与中国文化有着密切关系的越南传统文化。本文讲越南的中国研究,主要分为如下几方面:第一是越南研究中国的重要性。越南、日本、韩国和朝鲜同属“汉文化圈”,自古以来就与中国有着密切的关系。因此,汉学在越南有着极其重要和特殊的地位。换句而言,不仅是为了了解世界文明古国中国,而且更重要的是为了了解越南。总体来讲,越南对中国的研究包括两部分:一是对传统问题的研究,主要包括历史、文学、哲学、文化等领域;二是对现当代问题的研究,包括政治、经济、军事、外交等领域。其不论是对中国传统问题的研究还是现当代问题的研究,对于越南的中国研究来说都至关重要。第二是有关越南学术界对于“中国学”起源问题的争论。何时开始越南对中国的研究,直到现在越南学术界仍有不同的看法。一种观点认为在越南人们对于中国学或汉学的研究自从先祖们与中国一开始打交道就出现。另一种观点则认为越南的中国学开始于胡志明时代。第三是越南的中国研究发展的阶段。其可分成三个阶段:越南古代——“北属时期”及“独立自主时期”、越南近现代——“法属时期”以及越南当代的中国研究。每个时代的中国研究都具有各自的特点。除此之外,本文还概述了越南中国研究的历史进程及现状,也涉及到对越南的中国研究特点、成果以及有待改进的问题。由于地理、历史等因素,越南自古就开始了对中国的研究。其研究领域之广、程度之深在国外的中国研究中占有一席之地。 当然,在该研究领域中也还存在着一些有待改进的问题。但笔者相信,随着相关条件的改善,越南的中国研究一定会取得更大的辉煌。
1. 序言
2. 越南研究中国的重要性
3. 学术界关于越南“中国学”的起源问题的争论
4. 越南的中国研究发展的几个阶段及主要特点
5. 越南的中国学研究现状
6.结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