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고려대학교 한자한문연구소.jpg
학술저널

한국 언어 정책의 변화와 한글·한자의 혼용

  • 10

세계 여러 나라와 달리 한국의 언어생활은 한자와 한글로 두 개의 문자체계가 구성된 특수한 것이다. 역사적으로 보면 한글이 창제되기 전까지 한국말을 기록하는 문자가 없어서 한국사람들은 중국 한자를 빌려 표기하였다가 1443년에 최초로 한국 고유문자 ‘훈민정음’을 창제하였다. 사실은 ‘훈민정음’이 창제되었을 때로부터 기존의 한자와 공존되어 왔으며 한국사람들이 두 개의 문자체계를 사용하는 언어생활을 영위해 왔다는 것이다. 그때부터 한국 문자 체계에서 한글과 한자는 수많은 대립과 갈등, 화해와 용합으로 내려오면서 이미 하나가 되어버린 것 같아 인위적으로 분리시키려고 해도 뗄래야 뗄 수 없는 용합체가 되어버린 것이다. 한글과 한자의 공존과 혼용으로 구성된 한국인의 언어생활에서 역대 정부의 문자 정책과 언어 정책 수립에 있어서는 수많은 분쟁이 끊임없이 지속되어 왔다. 특히 개화기와 일제 시기, 광복 건국과 군사 정권기를 거쳐 현대까지 이와 같은 논쟁이 지속되어 왔으며 한국인의 언어 생활과 문자 생활에 큰 불편을 끼쳤다. 문자는 시각적이며 외적 수단이지만 언어 내적 구조의 음운·어휘·문법과 많이 관련되어 있고 나름대로의 발전 규칙이 있다. 한글과 한자의 혼용은 한글·한자 혼용이나 한글 전용의 언어정책 분쟁과 상관 없이 한국어 어휘체계의 내적 구조 규칙에 따라 형성된 것이다. 특히 일부 한글과 한자가 오랫동안 공존하면서 배제와 경쟁, 결합과 융합을 한 끝에 고정된 통사·의미적 호응관계 또는 공기 관계가 형성된 혼용 양상이 있다. 이런 한글과 한자의 혼용 양상은 구성요소 중 어느 한 부분을 바꾸면 성립하지 않는다. 이런 혼용 현상은 인위적으로 만든 것이 아니라 한국어 어휘체계의 내적 구조 규칙에 따라 자연스럽게 형성된 것이다. 본고에서는 한국 언어정책 수립과 한글전용 여부에 대한 논의를 하지 않고 다만 한국 언어정책 변화 양상을 살펴보고 한글과 한자의 혼용 양상을 파악하려고 한다. 그리고 한글과 한자의 혼용 양상을 분석하여 한국어 어휘체계의 내적 구조 규칙을 연구하려고 한다. 본문에서 한국어 언어정책 변화 양상에 대해 한글과 한자의 공용, 논쟁, 혼용, 한글전용, 한자 부활, 부분 혼용 등 양상을 살펴보고 정리하였다. 그리고 한글과 한자의 혼용양상에 대한 분석을 통해 동의중첩혼용과 고정결합 혼용 두 가지 유형을 분류해서 예문을 통해 분석 연구하였고 한국어 어휘체계 속에서 한글과 한자 혼용의 내재 구조 규칙을 파악하였다.

与世界其他国家不同,韩国的语言体系是由汉字和韩文两种文字组成的特殊体系。回顾历史,在创建韩文之前,韩国没有记录语言的文字,韩国人就借用中国的汉字作为标记手段,直到1443年创建出韩国的固有文字“训民正音”。“训民正音”从它被创建的那一刻开始就注定要与已经借用到韩国语中的汉字共存,韩国人要用两种文字体系维系他们的语言生活。从那时起,在韩国的语言文字体系中,韩文和汉字经历了无数次的对立和纠葛、和解和融合,逐渐形成了一个任何人为力量都无法分离的融合体,一个国家的语言生活中,政府的文字和语言政策的树立与执行,不仅对这个国家的整体文化带来巨大影响,而且对国民个人生活也会带来不小的影响。在由韩文与汉字的共存和混用构成的韩国人的语言生活中,历代政府树立文字和语言政策时产生的无数次的、无休止的争论一直延续着。尤其是近代,从开化期、日帝时期、光复建国和军队政权期一直到现在,有关韩文和汉字混用或韩文专用的争论一直持续着,给韩国人的语言生活和文字生活带来很多不便。文字虽然是视觉和外在的手段,但它和语言内在的音韵、词汇、语法有着许多联系,有自己的发展规则。韩文和汉字混用也一样,它与韩汉混用或韩文专用语言政策的争论无关,它是按照韩国语词汇内在结构规则发展而形成的。特别是在长时间的共存中,韩文和汉字在经历了相互排斥和竞争、结合和融合之后,形成了语法和词义上固定的呼应关系或共起关系。如果把这种韩文和汉字混用的构成要素中的任何一个换掉,那么它就不成立了。这不是人为形成的结果,而是按照韩国语词汇体系的内在结构规则自然形成的。本论文不对韩国语言政策的树立和韩文专用与否进行评论,只是考察韩国语言政策的变化情况,通过对韩文和汉字的混用情况进行了解和把握,分析韩文和汉字的混用结构,以期对韩国语词汇体系中韩文和汉字混用的内在结构规则进行深入研究。论文中对韩国语言政策变化的情况进行了梳理,就韩文和汉字的共用、争论、混用、韩文专用、汉字复活、部分混用等变化情况进行了考察。论文中对韩文和汉字的混用情况进行了分析,将其分为同义重叠混用和固定结合混用两种形式,通过例句进行分析研究,探讨了韩国语词汇体系中韩文和汉字混用的内在结构规则。

1. 서론

2. 한국 언어 정책의 변화 양상

3. 한글과 한자의 혼용 양상

4.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