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고려대학교 한자한문연구소.jpg
학술저널

燕行 送序를 통해 본 18세기 南人系 文人들의 意識世界

이 논문은 18세기에 지어진 燕行 送序의 일반적인 양상을 제시하고, 그 가운데 특별히 남인계 문인들에 의해 창작된 작품들을 중심으로 분석하여 그들의 의식 세계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17세기 중반에 淸나라가 건국된 이후로 19세기 중반에 이르기까지 약 200년 동안 다수의 연행 송서가 창작되었다. 明나라가 중국을 통치할 때는 중화의식이라는 공통분모 아래 비교적 안정적인 외교 관계를 유지했던 반면, 청나라가 중국을 통치하는 동안에 조선의 지식인들이 견지했던 대외 인식은 다소 복합적인 양상을 띠었다. 특히 18세기에는 그와 같은 양상이 두드러져서 명나라에 대한 향수와 청나라에 대한 수용의 태도가 복합적으로 나타났다. 한문산문 가운데 송서는 길을 떠나는 사람보다 전송하는 사람의 의식세계를 여실히 보여준다. 18세기에 창작된 연행 송서의 일반적인 주제 의식은 망해버린 명나라에 대한 향수가 주를 이룬다. 그런데 남인계 문인들은 이와 같은 일반적인 경향과 달리 송서를 통해 다양한 주제 의식을 내보였다는 특징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측면에 주목하여 남인계 문인들에 의해 창작된 연행 송서를 분석하고 그들의 의식 세계를 분석하였다.

This paper focuses on analyzing consciousness of the Namin Party writers through farewell prose. Since the Qing dynasty was established in the middle of 17th century, so many farewell prose were written by many different writers. That is because imperial envoys of Chosun dynasty who were heading to Yenching(燕京, the old name of Beijing) generally required a farewell prose from a celebrated writer. During the Ming dynast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osun and the Ming was stable. Because they were sharing the Confucian-Cultural Succession as a common denominator. On the other hand, intellectuals of Chosun dynasty had mixed emotions on Qing dynasty. They admitted Qing as the new occupier of Chinese land outwardly, while they despised Qing through lack of civilization inwardly. This conflicting feelings were intensified throughout the 18th century. Farewell prose usually shows us about the writer’s view of the world instead of the envoys’ opinion. While the general subject of those times was the nostalgia for Ming dynasty, the Namin Party writers seek for various subject. In this paper, I tried to find out their thinking in various ways.

Ⅰ. 머리말

Ⅱ. 연행 송서의 주제와 서술 양상

Ⅲ.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