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고려대학교 한자한문연구소.jpg
학술저널

『越南漢文燕行文獻集成』 분석의 한 시각 : 『星槎紀行』과 『華程後集』에 나타난 朝·越 문인 교류를 중심으로

The another angle of the analysis on 『越南漢文燕行文獻集成(越南所藏篇)』

  • 6

최근 학계에서는 동아시아의 상호 교류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이분야에 대한 문헌자료 분석이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시류 속에서 중국 복단대학문사연구원과 월남 한남연구원이 공동 작업으로 『越南漢文燕行文獻集成(越南所藏篇)』 25책을 총서로 영인 출간하였다. 『월남한문연행문헌집성』은 본래 중국 학계에서 異域의 눈으로 세상을 보자는 취지하에 편간된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사정을 넘어, 이는 본격적으로 연행록 연구의 범위를 ‘동아시아’ 전체로 확대한다는 데에서 그 의미를 찾을 수 있다. 『월남한문연행문헌집성』(이하 『집성』)에서 국내 학계가 주목해야 할 중요한 사실은 이들 기록에 조선사신과 중국 사신들과의 수창 기록이 다양하게 존재한다는 것이다. 그간 월남 사신과 조선 사신의 시문 교류양상에 주목한 연구가 이루어졌음에도, 자료의 미비함으로 아쉬운 점이 많았다. 『집성』에는 그간 연구에서 다루지 못한 양국 사신 간의 시문 수창 자료가 다수 있어 이를 중심으로 연구할 가치가 충분하다 여겨진다. 이에 본고에서는 『越南漢文燕行文獻集成』 이 朝-越 文士간 교유의 실제를 양방향에서 조명할 수 있는 귀중한 문헌자료라는 상정 하에, 서로를 인식했던 시각의 차이, 만남 당시의 구체적인 분위기를 시문을 통해 확인해보고자 한다.

Recently, China has published a collection of books by collecting and photo-printing this literatures on the delegates’trips to China, which is titled A compilation of literatures by the Vietnamese(越南) delegates'trips to China(abbreviated to Jip-sung(集成) below) We have found several main trends of Yeonhangrock(燕行錄) studies that Chinese scholars began to focus on other’s perspective, that is not western countries's but neighboring nations, Korea and Japan’s and the perspective on the East Asian Cultual Community began to emerge. Literatures from the delegation’s trip include contemporary writing that the Korean and Vietnamese delegates sent each other during the Chosun dynasty. We have witnessed many prominent studies on these contemporary writing. From Jip-sung, I found out that there is much data that we have yet to touch upon for such studies. Therefore, there is need to add this data to future comprehensive study. This article postulates that Jip-sung『集成』 is a valuable collection of literature that sheds light on the reality of social intercourse among the literary men of Korean and Vietnamese. Accordingly I will verify the difference of perspective to each other and the concrete atmosphere of the meeting in those days through the analysis on poetry.

1.『越南漢文燕行文獻集成』대략적 특징

2. 그간의 연구 성과와 본 연구의 방향

3. 1790년 조선과 월남 사신 交遊의 실제

4. 남는 문제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