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고려대학교 한자한문연구소.jpg
학술저널

韓國 詩經學 硏究 槪況과 課題 略述

The Brief Study on the General Look and the Future Tasks of Studying Korean Commentaries on the Odes

  • 2

중국 대륙, 대만, 홍콩 등지의 詩經學 연구는, 이미 연구 성과에 대한 개괄 뿐 아니라 구체적이고 전면적인 논문 목록집까지 정리된 상태이며, 거의 10년을 단위로 새로운 연구 성과를 재종합하는 상황이다. 이에 비해, 韓國 詩經學 연구는 분량도 많지 않을 뿐더러 그 연구 경향이나 연구사 정리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은 경향을 보인다. 이에 본고는 韓國 詩經學 硏究 槪況과 課題를 정리ㆍ고찰하는 것을 중심 목적으로 하여, 韓國 詩經學에 대한 연구 경향을 개괄해보고, 향후 韓國 詩經學 연구가 체계화되고 다양화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보고자 하였다. 본고에서 다루는 ‘韓國 詩經學’이란 韓國 詩經學者의 『詩經』 연구에 대한 연구 성과를 중심으로 한다. 한국 학자의 中國 詩經學 硏究 또한 적지 않은 성과를 이루어내고 있지만, 이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사정리는 中國 詩經學의 연구에 대한 통시적인 고찰이 병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논의의 성격이 다른 까닭에, 본고의 서술 대상에서 제외하였다. 본고에서는 現代 韓國 詩經學의 연구 성과에 대해 특징적인 방법론ㆍ접근 각도를 위주로 하여 文學ㆍ文學史的 방면, 經學史的 방면, 實學派ㆍ考證學派의 詩經學ㆍ正祖時代의 『詩經』講義ㆍ『詩經』의 우리말 번역 등으로 나누어 소개하였다. 아울러, 이를 바탕으로 文集類 등에 散見한 『詩經』觀 연구ㆍ朱熹 詩經學 이해에 대한 層次 연구 등의 향후 연구 방향을 모색해보고자 하였다.

This essay aims to categorize the existing tendencies of studying Korean Commentaries on the Odes and to suggest the future tasks for this field. The research results of China including Taiwan, Hongkong about the Odes, and even of Japan, have been already collected and analyzed. They keep upgrading their current research results at almost every 10 year. In comparison, the study results and tendencies of studying Korean commentaries on the Odes have rarely been aggregated or analyzed in the integrative degree. Based on this situation, this essay tries to summarize and analyze the research trends about Korean commentaries on the Odes so that we extend the width of the study field. We choose research methodology as the way of summarizing the existing research tendencies, as we believe that the research methodology is more effective to show the characteristics of the current study on the Odes. Besides the study of Korean commentaries on the Odes, there are considerable studies of Chinese commentaries on the Odes by Korean scholars. Anaylzing their research results in depth, however, is different from our study angle. It could be considered as a further research plan.

1. 서 론

2. 現代 中國 詩經學의 주요 연구 방향

3. 韓國 詩經學에 대한 연구 성과

4. 韓國 詩經學에 대한 향후 연구 과제 및 제언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