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고려대학교 한자한문연구소.jpg
학술저널

『急就篇』 異文에 대한 고찰 - 同聲母異體字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Yitizi(異體字) in Yiwen(異文) of Jijiupian(急就篇)

『急就篇』은 『急就章』이라고도 하는데, 西漢 元帝 때 黃門令 史遊가 편찬한 것으로 學童들에게 글자를 가르치기 위해 사용한 漢字學習教材이다. 『急就篇』은 2千餘年의 傳寫 과정을 거치면서 대량의 異文이 생겼는데, 본 연구에서는 孫星衍이 편찬한 『急就章考異』, 顔師古가 註한 『急就篇』 그리고 王國維의 『校松江本急就篇』 등의 서로 다른 세 판본을 상호 비교하여 『急就篇』의 異文을 고찰하였다. 『急就篇』異文은 그 글자관계에 따라 異體字, 同源字, 假借字 등으로 나눌 수 있는데, 본 논문에서는 이 중 異體字를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그리고 『急就篇』異文 중 聲母가 같은 글자의 偏旁 변화 양상을 살피는 것을 본 논문의 목적으로 삼았기 때문에, 『急就篇』異文의 異體字 중에서도 글자의 偏旁 변화에 영향을 주는 同聲母異體字만을 연구 대상으로 삼았다.

In Han dynasty, there were several materials on the primary Chinese characters text-book, which are the Jijiupian(急就篇), Cangjiepian(倉頡篇), Xunzuanpian(訓纂篇), Fanjiangpian(凡將篇), Pangxipian(滂喜篇). Jijiupian(急就篇) is a textbook for teaching children to read and write compiled by Shi You(史遊), who was an office in the Western Han dynasty at the Yuan Di emperor(B.C.43-39). It had not only played a very important role in the history of traditional Chinese education, but also in calligraphy creating. It also was prevailing as a textbook for children to recognize Chinese characters. As a matter of fact, it has the function of both a book for language and for common sense. This book has involved in many natural and social knowledge people then had. The content of this book is especially very rich which has special historical value to the research of the Chinese characters. This paper gives the precise statistical result of Yitizi(異體字) in Yiwen(異文) of Jijiupian(急就篇).

Ⅰ. 서 론

Ⅱ. 母字와 累增字

Ⅲ. 偏旁互換字

Ⅳ. 결 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