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고려대학교 한자한문연구소.jpg
학술저널

『太平御览』保存纬学文献的原因及特点考

緯書은 經에 상대되는 말로 經典에서 파생되어 나온 개념이다. 緯書가 孔子의 이름을 사칭하여 神學과 迷信觀을 끌어와 유가 경전을 해석하는 것은, 국가의 흥망성쇠, 帝王將相의 출현 등이 모두 天命에 의해 좌우된다는 사상을 선양하는 데 목적이 있다. 宋代 官撰類書인 『太平禦覽』은 광범위하게 자료를 채록하면서 宋代 이전의 緯書 내용을 대량 인용하였는데, 이는 宋代 사람들의 緯書에 대한 관심을 반영하는 것이다. 『太平禦覽』이 宋代 이전의 緯書 자료를 대량으로 보존해줌으로써, 오늘날 우리는 漢代 이후 緯學의 발전 정황을 이해할 수 있게 되었다. 현재 파악되는 緯書에 의거할 경우, 전체 『태평어람』 55 部 가운데 20 部에서 緯書 書目이 인용되었다. 緯書의 내용을 經書·史書와 함께 열거하는 편찬 방식은 왕권의 정통성에 대한 옹호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를 은밀히 강조함으로써 君權神授 사상을 선양하고자 하는 의도를 반영한다. 緯學은 西漢말기부터 흥성해 東漢 시기에 최고조로 발전하였다가 그 이후로 점차 쇠퇴하였다. 宋代 太宗 때 緯學을 금지하는 大勢에도 불구하고, 관찬의 성격을 지닌 『태평어람』에 여전히 緯書 내용이 대폭 수록될 수 있었던 것은, 皇位의 정통성 문제 및 道教의 새로운 부흥과 일정한 관련이 있다.

纬书,相对于经而言,是由经典所衍生出的意义,伪托孔子以神学迷信观对儒家经典所作的解释,旨在宣扬国家治乱兴衰、帝王将相出世等均出于天命安排的思想。宋代官修类书『太平御览』在广采资料之时,引用了大量的宋前纬书内容,反映了宋人对纬书价值的关注,保存了大量宋以前的纬学材料,使我们对汉以后纬学发展的情况有所了解。现今所知纬书,『太平御览』全书五十五部中二十部有所引目,对所引纬书内容经史并列的编纂方式,体现了对王权正统的推崇,企图以对这类内容的隐性强调来宣扬君权神授的思想。纬学自西汉末期兴盛起,东汉达到发展顶峰,其后渐趋衰颓。宋太宗朝在大势禁纬的情况下,仍然允许官修性质的『太平御览』存在大量纬书内容,与其皇位正统以及道教重新兴起有关。

Ⅰ. 绪论

Ⅱ.『太平御览』所收纬学内容的数量

Ⅲ.『太平御览』所收纬学内容的政治价值

Ⅳ. 纬学内容与经史并列的编纂方式

Ⅴ. 结语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