漢字史에서 각 字體의 字形 特徵을 縱勢, 橫勢, 方正으로 규정한다. 甲骨文과 金文은 縱勢와 橫勢가 混在하고, 大篆과 小篆은 縱勢, 隸書는 橫勢, 楷書는 方正之勢를 띈다. 자형의 변화는 여러 가지 요인들이 複合的으로 作用하여 일어났다. 그 가운데 書寫人과 書寫道具의 변화는 자형변화의 가장 核心的 要素이다. 일반적으로 甲骨文, 金文, 篆文은 專門 書寫人에 의해 書寫되었다. 하지만 隸書段階에서는 一般人도 文字生活을 하고, 書寫材料와 道具는 簡牘과 筆(붓)이 主를 이루었다. 筆과 일반인들의 문자생활은 小篆이 갖고 있던 非效率的인 筆劃과 字形을 改變시켰는데, 그 方法은 小篆의 彎曲된 필획을 書寫하기 쉬운 平直筆로 바꾸고, 縱으로 길게 뻗은 體勢를 橫으로 길게 뻗은 橫勢로 바꾸는 것이었다. 平直과 橫勢로의 轉換은 必然的으로 筆劃과 筆劃, 部件과 部件의 連接, 省略, 縮約 등을 동반하여 漢字史에서 찾아볼 수 없는 前代未聞의 자형변화를 일으켰다. 秦末에서 漢末까지의 隸書의 發生, 發展, 成熟, 變化를 隸變이라고 하는데, 이때의 한자 변화를 이해하는 것이 楷書 이해의 關鍵이 된다. 예서 이전에는 基本的으로 筆順, 筆形, 筆道, 筆劃數 등이 확정되지 않았다. 소전에 曲과 直이란 筆劃이 있다고는 하지만 오늘날과 같은 多樣한 筆劃은 隸書에 이르러 生産되었다. 또, 위에서 아래로, 左에서 右로의 筆順과 例外的인 筆順도 이때 형성되었다. 예컨대 戈는 ‘ (小篆), (古隸), (今隸) (楷書)’로 演變을 하였다. ‘戈’의 字形變遷은, 隸書와 楷書는 小篆의 第3筆과 4筆의 彎曲筆을 斜線의 平直筆로 改變시킨 것이다. 今隸의 字形만 보면 下部와 上部가 어느 것을 먼저 썼는지 알 수 없다. 하지만 楷書字形 를 보면 下部가 上部보다 먼저 썼음을 알 수 있다. 이런 例外的筆順은 速寫를 하기 위해 筆을 자연스럽게 運用하면서 形成된 것이다. 楷書 는 今隸 의 筆道, 筆順, 筆形을 바꾼 것이다. 그 과정은 下部 向左斜線을 第3筆에 쓰고, 上部 右上의 点을 第4筆에 썼다. 第2筆(向右斜線)을 第3筆(下部 向左斜線)과 자연스럽게 連結書寫하기 위해서 收筆處를 向右上의 鉤 形態로 쓰고, 마지막 点의 방향을 向右로 變換 시켰다. 이러한 筆道와 筆順은 ‘ ’와 같은 運筆의 節奏를 이루어 效果的인 書寫, 아름다운 筆劃을 써 낼 수 있다. 楷書는 隸書에 남아 있던 書寫에 불편한 一部 筆劃과 橫勢를 理想的인 方正之勢로 修整하였기 때문에 1500여 년이란 시간이 흐른 現在도 계속 유지되고 있다.
在漢字史中, 各字體的字形特徵分为縱勢, 橫勢, 方正. 甲骨文和金文表现为縱勢和橫勢混在一起, 大篆和小篆表现为縱勢, 隸書表现为橫勢, 而楷書表现为方正之勢. 字形的变化 由多种原因复合作用而引起. 其中,書寫人和書寫道具的变化是字形变化最核心的要素. 一般 甲骨文, 金文, 篆文是由于專門書寫人書寫而成.但是, 在隸書段階 一般人也有文字生活, 書寫材料和道具 以簡牘和筆为主. 筆(붓)和一般人的文字生活改变了持有小篆的非效率的筆劃和字形, 方法变成了書寫简单的小篆彎曲型笔画的平直筆,纵向伸长的體勢变成了横向伸长的橫勢. 平直和橫勢的轉換是筆劃和筆劃, 部件和部件的連接, 省略, 縮約 等 必然性的相伴, 形成了在漢字史中找不到的前代未聞的字形变化.从秦末至漢末 隸書的發生, 發展, 成熟, 變化称之为隸變, 当时理解汉字变化成为了楷書理解的關鍵. 例如 以前基本的筆順, 筆形, 筆道和筆劃數不确定. 小篆虽说有曲直的筆劃, 但是像今天使用的多樣筆劃是从隸書形成的, 而且也形成了从上至下, 从左至右的筆順, 以及例外的筆順. 例如 戈是由(小篆), (古隸),(今隸) (楷書)’演變而成的. ‘戈’的字形變遷是在隸書和楷書使小篆的第3筆和4筆的彎曲筆改變成斜線的平直筆. 只看今隸字形的话 看不出是先写的下部还是上部. 但是看楷書字形‘ ’的话可以看的出是下部比上部先写. 这样 例外的筆順是为了速寫, 自然運用而形成的筆.楷書‘ ’改变了今隸‘ ’的筆道, 筆順和筆形. 过程是:把第3筆写向左斜線,而第4筆写右上的点. 这是为了第2筆(向右斜線)和第3筆(下部向左斜線)的自然連結書寫, 写完收筆處向右上的鉤形態, 最后点的方向变换成了向右. 这样的筆道和筆順形成了‘ ’相似的運筆的節奏, 更能勾画出有效果的書寫和美丽的筆劃.由于楷書把在隸書中留有不便書寫的一部筆劃和橫势修整为理想的方正之勢,虽已流逝1500余年, 但现今仍然在维持.
Ⅰ. 序論
Ⅱ. 各 字體別 結體 특징
Ⅲ. 隸變의 현상과 규율
Ⅳ. 隸變과 書體, 筆劃의 演變
Ⅴ. 結語