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학으로서의 한자학과 교육으로서의 한자교육은 그 연구 목적과 방법이 다르다. 이런 관점에서 본고에서는 우선 한자교육의 특성을 논하고, 한자학 연구의 성과를 한자교육에서는 어떻게 수용하거나 적용하는가에 대해서 논의한 후, 한자교육이라는 측면에서 교육의 균질성과 체계성, 접근성과 효율성이라는 네 가지 기준을 제시하였다. 이 제시를 바탕으로 오랜 시간 동안 한자교육에서 주로 활용되고 있는 자원 학습법의 실질적인 문제점을 살피보고, 동시에 그 해결 방안을 살펴보고자 한다.
Han Character Philology in field of ways, means and ends is different with Han Character Education study. In this paper, first discuss about Han Character Education’s special characters and quality, and write about how to accommodate or apply to Han Character Philology’s Research results. I suggest Four criteria in terms of education study, Homogene -ous, Systemicity, Accessibility and Efficiency in the education study. Using this four criteria, through analysis to teach han character with story telling Han character Origin-change that long time and wide using one of method in the usual textbook, I can find big problem in this case, like one character different describe or story telling in every textbook, some using incorrect story or non correctly commonsense view without examine thoroughly original history research. At last, I suggest how can revise this problem.
Ⅰ. 序 論
Ⅱ. 漢字學 연구와 漢字敎育의 내용 선정과 조직의 관계
Ⅲ. 한자교육의 擴張性과 標準化(規範化) 중요성
Ⅳ. 字源 서술 內容의 標準化(規範化) 必要性과 方案
Ⅴ. 結 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