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고려대학교 한자한문연구소.jpg
학술저널

[번역] 텍스트가 만들어낸 '고대'·'역사'·'노래' : 방법으로서의 텍스트 이해

  • 3

텍스트에서 가장 먼저 보아야 할 것은 텍스트가 만들어낸 것이다. 『고사기』나 『일본서기』에 보이는 ‘역사’, 『만요슈』가 나타내는 ‘노래의 세계’는 현실의 것이 아니라 텍스트에서 성립된 것으로 보아야 한다. 그 텍스트 이해의 입장은 고대연구의 패러다임을 재고할 것을 요구한다.

들어가며

一. 한자텍스트에 대한 시점

二. 방법으로서의 텍스트 이해

三. 텍스트 이해가 여는 것-『고사기』의 ‘고대’

四. 『일본서기』의 ‘고대’·‘역사’

五. 『만요슈』 노래의 세계

六. 『삼국사기』의 ‘고대’

나가며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