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고려대학교 한자한문연구소.jpg
학술저널

동아시아 문학 속의 '桃花源' : 그 형상의 遞變과 '人文化成'의 세계

The Peach Blossom Land in East Asian Literature : The Change of Imageand the World of Human Culture

  • 12

陶淵明의 桃花源은 한문학을 공유한 동아시아 문화권에서 서양의 유토피아와 대적할 수 있는 이미지를 거론할 때 제일 먼저 떠오르는 형상 중의 하나이다. 근대 도화원의 관한 연구에서 도화원은 흔히 근대관념인 유토피아, 이상향, 낙원 등의 개념으로 대치되기도 하고, 동아시아 고전 한문학에서는 沃野, 勝地,福地, 洞天, 樂土, 福山, 仙境 등의 용어로 표현하기도 한다. 그만큼 1600년 전 도연명이 그렸던 도화원은 인간이 추구하고 있는 보편적 가치를 내포하고, 이 내포된 보편적 가치는 시간의 흐름과 지역의 상이함에도 불구하고 동아시아 문학 속에서 계승 및 전파를 통해 동아시아인의 인식 속에 이상적인 공간 형상으로 자리잡아왔다. 그러나 도연명이 도화원을 통해 추구했던 보편적 가치란 과연 동아시아 고전문학이나 근대의 도화원 연구에서 흔히 거론된 仙境이나 정치적 제도를 통해 건설돼 이상세계-유토피아의 형상과 일치한 것일까? 이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해 본고는 먼저 도화원 이후의 중국문학작품과 도화원에 관한 토론을 神仙說, 紀實說, 寓意說로 나눠 도화원의 형상이 어떠한 재해석의 경로를 통해 선경에서 유토피아로 遞變되어 왔는지에 대해 정리하고자 한다. 이 체변의 과정에서 필자는 도화원의 계보학적 의미를 찾을 수 있기를 기대한다. 그 다음으로 도화원이 중국문학사에서 유기적인 재해석의 사슬을 이룰 수 있었던 건 도화원 본문이 神仙, 紀實, 寓意의 요소들을 지니고 있기에 派生, 歧出, 追認 등의 재해석 현상이 가능하였다고 본다. 그러므로 본고는 문학 작품의 기능적 역할에 착안하여 도연명에 의해 기호화된 意象群, 典故적 의미와 神話적 스토리의 출처를 먼저 밝히고, 그가 신화와 전고의 재편성을 통해 구현하고자 한 심미적 효과와 보편적 가치를 살펴보고자 한다.

The image of The Peach Blossom Land of Taoyuanming is one of the major counterparts of the western utopia. It has been regarded as the contraposition of utopia or paradise, while it was described with the terms like 沃野, 勝地, 福地, 洞天, 樂土, 福山, 仙境 in Eastern Asian classical literary tradition, which shows Taoyuanming's fantastic imagination has universal value for times and spaces and thus has been succeeded through literature as the ideal image of paradise among Eastern Asians. Still, we have to question whether the universal value of The Peach Blossom Land really corresponds to the image of fairyland or political sense of utopia. To find the answer, this thesis categorizes classical literary works and arguments about the theme into three categories - debate on immortal hermit (神仙說), records (紀實說) and allegory (寓意說) - to establish the genealogy of the peach blossom land changing from fairyland to utopia. The reason why the Taoyuanming's work produces constant and various explanationsin Chinese literary sphere is that its writing style itself has characteristics of 神仙, 紀實, 寓意 which raise derivatives, variation and ratification. To find out aesthetic effects and universal value of the work achieved by reconstructing myths and old stories, the thesis searches iconic images created by Taoyuanming and its sources in the basis of the functional role of literary work.

1. 머리말

2. 仙境에서 유토피아까지

3.「桃花源記并詩」의 문학적 특징

4.「桃花源記并詩」의 문화적 콘텍스트

5. 빛(光)의 隱喻 : ‘人文化成’의 세계를 향한

6.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