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은 누구든 어머니에게서 태어난다.어머니와 자식 간에는 인간의 존재에 관련되는 영원한 신비가 있다.특히 어머니와 자식의 연결을 상징하는 것이 授乳이다.젖은 인간이 최초로 입으로 먹는 것이며,생명의 근원이다.거기에 자기 존재의 始原을 상기시키는 것이 있다고 하여 좋다.어미됨을 상징하는 것이 그리스도교에서 그리스도의 어머니 마리아이고,불교에서 석가의 어머니 마야이다.모두 세계 종교로서 널리 퍼져있는데,기층의 여신신상 계맥을 생각하지 않으면 안 되는 것이 있다. 게다가 마야와 마리아에게는 뜻밖에도 수유라고 하는 이야기가 오랫동안 전해 내려와,도상화까지 되어 계승되고 있다. 문제의 발단은 나의 메인 테마이기도 한 일련의 ‘佛傳文學’(석가의 생애 이야기)에 있다.일본의 12세기 설화집의 대작인 今昔物語集(곤자쿠모노가타리슈) 은 석가의 전기에서 그 방대한 이야기가 시작된다.漢譯佛典을 이어 받으면서 일본의 문화에 맞춘 ‘불전문학’으로 번역해 가는 갈등(격투)이 그대로 문체 표현으로 새겨져 있다. 今昔物語集 을 기점으로 일본과 동아시아의 ‘불전문학’에 테마가 확충되어 갔는데,일본의 15ㆍ16세기에 이야기로서 성장하는,새로운 釈迦の本地(샤카노혼지)는 그림 두루마리와 삽화본이 많아,불전의 갖가지 이야기가 회화화되어 있다.그 傳本의 태반에 그려져 있는 장면의 하나가 석가와 마야의 재회이다.마야는 석가를 낳은 지 일주일 만에 죽어,천상계에 다시 태어난다.성인이 된 석가가 깨달음을 얻고 마야의 곁으로 설교를 떠나, 재회한 모자의 증명으로서 마야가 날린 젖이 석가의 입으로 들어간다는 것이다. 이 극적인 모자의 이야기는 이미 불전의 경전에 이야기되어 있어, 今昔物語集 에도 보이며 다른 인도에서의 왕후의 화제에도 여러 가지 보이며,법회의 설교 등에서도 자주 이야기되어,한국에서도 민간 전승 레벨에까지 퍼져 있었던 사실을 지적할 수 있다.어머니와 자식의 연결을 이야기할 때 빠져서는 안 되는 고사가 되어 있었던 듯하며,고대에서부터 불리우던 어머니의 은혜를 강조하는 ‘百石讃歎(모모사카산탄,百石은 모유의 양을 가리킨다)의 가요와 같은 것과도 깊이 관계되어 있을 것이다.하지만 수유 장면 그 자체가 회화화된 것은 이 釈迦の本地 에서이다.동시대의 明代삽화본 간본 釋氏源流 에도 이 화제가 이야기되고 있는데,그 삽화는 두 사람이 상대하고 있을 뿐 젖을 날리는 장면은 전혀 보이지 않는다. 釈迦の本地 에 묘사된 그림 장면은 텍스트에 따라 다종다양하여 일정하지 않아,회화를 즐겨 그리고 보았던 듯하다. 말 뿐이 아닌 회화에 의한 이야기의 표현시계가 횡일하고 있는 것이 釈迦の本地 의 특색이다. 한편,마리아의 수유도 갖가지로 도상화되어 있다.다만,상대는 그리스도가 아니라 12세기 프랑스의 성 베르나르두스였다.그는 열렬한 마리아의 숭배자로,마리아를 幻視하고 마리아에게서 떨어진 젖이 입술을 적셔 영력을 얻었다고 하는 일화가 있는데,그것이 후에 회화화되게 된듯하다.마리아가 품고 있는 아기 그리스도 너머로,베르나르두스의 입으로 들어가는 모습은 정말이러한 수유도의 우연한 일치는 과연 우연일까 아니면 어떠한 영향관계가 있는 것일까,그것이 오랫동안 품고 있는 어려운 질문이다.그러나 한쪽에서 다른 쪽으로 가는 단선적인 인과관계나 영향관계만으로 환원하여 읽어내려 하여도 그다지 생산적이지 않다.인류가 계속 살아가는 한 어머니와 자식이라고 하는 영원불변의 숙명적인 과제는 계속되고,모성과 생명의 극치인 수유 행위는 계속되리라.그러한 젖의 본원적인 힘과 신비를 표출한 마야와 마리아 두 사람의 수유도를 이것저것 대비하면서 앞으로도 해독해 나가려 한다.
The key link between mother and child is lactation. Since mother's milkis the first food people have in mouth, it is the symbol of elemental life which arouses the sense of one's origin of existence. What represents motherhood is the Virgin Mary in Christian world and Queen Maya, the mother of Buddha, in Buddhist tradition. Not to mention the fact that the mothers of the two major religions are closely related to genealogy of goddess, there are myths and iconic images of lactation about them, Let's start at 佛傳文學, the stories of the life of Buddha. On the top of the list, there’s the masterpiece of Japanese 12th Century folktale, 今昔物語集, which begins its vast narratives with the biography of Buddha. The struggle to localize 佛傳文學, originated from Chinese translation of Buddhist classics, is carved in every sentence just as it was. After 今昔物語集, various themes of 佛傳文學 is added in Japanese culture, and when it comes to Shakanohonji (釈迦の本地) in 15, 16th Century, variety of stories in Buddhist classics are illustrated as forms of scroll or book. One of the most common illustrations in those collections is of regathering of Buddha and Maya. After Maya died after a week of Buddha's birth, she revived in heaven and finally met Buddha in nirvana again. The pictures describe the scene where Maya's milk sucked into Buddha's mouth as evidence of mother and son. Even though the episode was well known and often mentioned as an icon of mother-son relationship not only in Japan but other parts of Asia including India, China and Korea, it was the first pictorialization of lactation itself in Shakanohonji. There is also a illustration of this gathering in illustrated edition of 釋氏源流 in contemporaneous Ming dynasty, however, that picture only depicts the two figure together with no hint of lactation. Meanwhile, lactation of the Virgin Mary was also widely picturized. Interesting thing is that who drinks milk is not her holy son, but St. Bernardus in 12th Century France who is known as worshiper of Holy Mother. It is said that he gained superpower after seeing Mary in a visual hallucination and tasting milk on his lip dropping from her. Is the similarity of the two scenes - an image that not giving milk to the baby in mother's arm but to grown man - just a result of coincidence or is there a certain linkage? A simple explanation of cause and effect or one track influence isn't enough. To solve the continuous mystery of motherhood and life, this thesis compares and decodes the two image of lactation of Mary and Maya in various aspects.
1. 어머니라는 분 - 마야와 마리아
2. 마야의 수유
3. 법회의 장에서
4. 젖의 대가
5. 百石賛嘆
6. 기적의 수유
7. 젖을 날려 보낸 부인들 - 蓮華夫人과 鹿女夫人
8. 한반도의 사례
9. 『釋迦の本地(샤카노혼지)』의 삽화
10. 수유의 도상학
11. 마리아의 수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