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고려대학교 한자한문연구소.jpg
학술저널

[번역] 日本의 倭琴(야마토고토)에 보이는 中国 七絃琴 理念의 影響 - 出土品·埴輪·文献資料로부터의 考察

The Influences of Chinese Zither with Seven Strings to Ancient Japanese Koto : A Consideration with Excavated Articles, Haniwas and Old Documents

일본 고유의 현악기인 倭琴은 국가 형성기의 일본에서 특별히 중시되어 왕권 의례와 제사에 사용되었다.본고는 이러한 왜금 존중의 기저에 중국 칠현금의 이념이 있는 것을 검증하겠다.고대의 수장과 왕들은 중국 예악 사상에서 존숭된 칠현금의 권위를 왜금에 가탁하여 지배권의 권위를 보이는 데 이용했던 것이다. a.출토품의 왜금 왜금이란 일본 재래의 현악기이다.기원전3세기 이후 100여점의 실물이 출토된 외에 이 악기를 연주하는 埴輪(하니와)가 30점정도 있는 등,이 시기의 악기로서는 특출나게 유물이 많다.주변 여러 나라의 현악기와의 구조적인 영향 관계는 없으며 일본 원산의 악기로 여겨진다. 출토품인 왜금의 특색은 제사 유물에서 발견된 것이 많다는 점이다. 특히 물가에서 행해진 제사에 사용됐었던 듯 導水시설의 遺構와 流路터에서 발굴된다. b.埴輪(하니와)의 왜금 왜금은 제사에서 어떻게 이용되었던 것일까.그 일단을 밝혀주는 것이 埴輪(하니와)이다.埴輪이란 고분에서 출토되는 설구이 토기로 그 중에서도 많은 인물과 동물이 한꺼번에 출토되는 것을 埴輪군상이라고 부른다.埴輪군상은 고분의 被葬者가 관련된 의례 장면을 재현한 것이며,彈琴埴輪이 보이는 것은 巫女가 왕에게 聖水를 헌상하는 제사 장면과 피장자의 생전의 사적을 무녀가 노래하는 장송 의례 장면이다.이들 예에서는 무녀의 옆에 거문고를 타는 남성의 埴輪이 놓여 있으며 왜금은 <물의 제사><장송 의례>와 같은 장면에서 연주되었음을 알 수 있다.더욱이 거문고 타는 埴輪의 특필할 만한 특징으로서 연주자가 전부고위 남성이라는 점을 지적할 수 있다. c.문헌 자료의 왜금 埴輪에서 보이는 왜금의 용도와 특징은 문헌 자료에도 공통되고 있다. 古事記(고지키) (712년 성립)에는 제사권을 상징하는 ‘천의 소금(天の沼琴:아메노 누고토)’을 비롯해 琴용례의 거의 대부분이 왕권과 관계되어 있다.특히 왕위 계승에 관계되는 문맥 상에서 이야기되는 경우가 많다.또 불가사의한 배로 운반한 聖水를 천황에게 헌상했다고 하는 ‘枯野(가레노)’전승에는 물의 제사의 흔적을 볼 수 있다.한편 日本書紀(니혼쇼키) 의 琴은 渡来人과 葬送의례와의 관계가 농후하다.더욱이 風土記(후도키) 의 거문고는 거의가 素戔嗚尊(스사노오노미코토)·大己貴命(오나무치노미코토)라는 2柱의 신과 결부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埴輪에 보인 <왕권><물 제사><장송 의례>와의 관계, 또 남성 神·천황·왕족과 도래인이 연주하였다고 하는 특징은 문헌 사례에도 연속되고 있다.이것들은 더욱이 萬葉集(만요슈) (8세기 중엽성립)에도 계승된다. 萬葉集 의 용례에서 주목되는 것은 왜금에 칠현금을 중첩시키는 표현이 눈에 띈다는 점이다.왜금이 乙女로 변화하여 ‘군자의 좌금(君子の左琴)’이 되기를 원하는 이야기(권5810・811)등 漢詩文수용이 진행되어 칠현금 이념을 소화한 귀족들이 왜금을 칠현금처럼 취급함으로써 군자인척 하였다.그러나 사실은 왜금에 칠현금 이념이 겹쳐진 것은 萬葉集 이 처음이 아니다.秦酒公(하타노사케노키미)가 거문고를 탐으로써 천황을 改心시킨 예( 일본서기 ·雄略天皇)등,가장 오래 된 책인記紀( 고사기 와 일본서기 )의 거문고에서도 칠현금의 이념을 엿볼 수 있다.따라서 문자 이전의 왜금에도 이미 칠현금의 이념이 있었을 가능성이 있다. 출토품과 埴輪의 왜금과 문헌자료의 왜금에는 문화적인 연속성을 인정할 수 있다.나아가 문헌자료의 왜금에만 나타나는 칠현금의 이념도문헌 이전의 왜금에서 계승됐을 가능성을 생각해야 할 것이다.특히 연주자가 남성에 제한되었다고 하는 공통점은 중시하지 않으면 안 된다. 칠현금이 군자의 악기라고 하는 것은 어디까지나 이념상이며,실제로 중국에서는 여성 연주자도 적지 않았다.따라서 왜금의 연주자가 남성에 한정된 부자연스러움은 오히려 칠현금의 이념을 편중한 결과라 생각된다.재질적 희소성이 없는 목제품인 왜금이 중시된 배경에는 칠현금이념에 의한 권위 부여가 있었을 것이다.고대 한반도에서 중시된 가야금과 玄琴이 ‘唐의 악기’와 ‘칠현금’을 바탕으로 만들어졌다고 전해지는 ( 삼국사기 · 삼국유사 )는 것도 이런 推察의 방증이 된다고 생각된다.

1. 들어가며

2. 出土品의 倭琴

3. 埴輪의 倭琴

4. 문헌자료의 倭琴

5.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