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제21권 제2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대학병원 간호사의 소진예방을 위한 비대면 음악기반 심리정서지원 프로그램 참여경험 연구

University Hospital Nurses’ Experience of a Music-Based Online Burnout Prevention Program: A Qualitative Case Study

DOI : 10.21187/jmhb.2024.21.2.135
  • 62

본 연구에서는 대학병원 간호사의 소진예방을 위한 비대면 음악기반 심리정서지원 프로그램을 개발 및 실행하였다. 본 연구 참여자는 대학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 40명으로 8회기의 비대면 프로그램 참여 직후 참여 경험과 관련한 질문에 답변을 기술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를 질적 내용분석(qualitative content analysis)방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66개의 의미단위, 10개의 주제와 3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3개의 범주는 ‘신체적ㆍ정신적 안정의 회복’, ‘자기 돌봄과 수용’, ‘간호사로서의 자부심과 의미의 재발견’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대학병원 간호사를 대상으로 비대면으로 실행한 음악기반 심리정서지원 프로그램을 통해 다양한 차원에서 소진예방과 관련한 참여자의 경험을 탐구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향후에는 간호사 소진 완화를 위한 프로그램의 고도화를 위하여 세부 소진 요인과 관련된 현상의 탐색과 연구 방법의 다각화를 통한 확장된 연구를 제안한다.

In this study, the authors developed and implemented an online music-based support program to prevent burnout among university hospital nurses. This study involved 40 nurses from three university hospitals who shared their subjective experiences after participating in 8 music-based non-simultaneous online sessions. The responses were collected as qualitative data and analyzed using the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method. The analysis identified 66 meaning units, 10 themes, and 3 categories, which included: ‘Recovery of physical and psychological stability’, ‘Self-care and acceptance’, and ‘Rediscovery of pride and meaning as a nurse’. This study is significant for exploring the experiences of university hospital nurses who participated in a remotely implemented music-based psycho-emotional support program, with respect to burnout prevention. For future directions, we suggest a more in-depth exploration of specific burnout factors and an expansion of research through the diversification of research methods to refine programs aimed at alleviating nurse burnout.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References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