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중국인문과학 제87집.jpg
KCI등재 학술저널

한국어 ‘말하다, 말씀하다’와 중국어 ‘說’의 의미 대조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Meanings of Korean ‘말하다, 말씀하다’ and Chinese ‘說’

DOI : 10.35955/JCH.2024.08.87.21
  • 191

발화(發話)라는 행위는 말하는 사람이 언어를 통해 의도와 태도를 표현하는 것으로, 입을 열어 말하는 동시에 해석을 주거나 다른 사람에게 해석을 구하거나 건의를 하거나 다른 사람에게 건의를 구하거나 타인에 대한 비판, 경고, 위협 등 하는 것을 말한다. 발화 동사에 관한 선행연구는 많지 않고 의미적으로 한중 발화 동사의 의미실현조건 대조분석에 대해서는 논의된 바가 없는 것으로 보인다. 본고에서 발화 동사를 “사람이 입으로 소리를 내어 자신의 생각을 음성적인 형태로 나타내는 동사”로 정의를 내린다. 발화 동사는 [+음성적 언어적 행위], [+사람], [+생각] 등 의미 속성을 지니고 있다. 이 개념에 부합하는 수많은 발화 동사 가운데 발화 동사‘말하다’가 다른 발화 동사에 비해 지니는 개별 의미의 수가 가장 많기도 하거니와 명사구 논항이나 보문, 부사어 등 다른 성분과의 결합 양상에 따라 다양한 의미가 실현되는데, 이러한 복합적인 의미 특성을 보이기에 제일 적합하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 대조 언어학의 입장에서 한국어 ‘말하다’와 그의 높임 형태인 ‘말씀하다’, 그리고 중국어 ‘說’을 중심으로 각 단의의 대응 관계를 밝힘으로써 한국어와 중국어 간의 발화 동사의 미세한 차이를 밝힐 것이다. 먼저 한국어‘말하다’와 그의 존댓말 형태인 ‘말씀하다’ 및 중국어 ‘說’을 대상으로 의미평정을 한 것을 제시한 다음에 한국어의 ‘말하다’, ‘말씀하다’와 중국어의 ‘說’의 의미 실현 조건을 구체적으로 조사하고 대응관계를 대조해 보고자 하였다. 이런 연구는 한국어교육 분야에서 한국어를 공부하는 중국인 학습자들에게 한국어 발화 동사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모어의 간섭에 의해 오류가 발생하는 부분을 줄일 수 있도록 도와준다. 뿐만 아니라 한중 대역사전 편찬이나 한중 번역 사업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

Verbs like 'say,' 'talk,' and 'speak' in Korean and Chinese correspond to the single words ‘말하다,’ ‘말씀하다,’ and ‘說.’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semantic realization conditions of these verbs and elucidate the semantic correspondences between Korean and Chinese speech verbs. There are few prior studies on speech verbs, and there appears to be no discussion on the contrastive analysis of the semantic realization conditions of Korean and Chinese speech verbs. The act of speech involves the speaker expressing intentions and attitudes through language, which includes speaking out loud, providing or seeking interpretations, making or requesting suggestions, criticizing, warning, threatening, etc. In this paper, speech verbs are defined as “verbs that express a person's thoughts in a vocal form by making sounds with their mouth.” Speech verbs have semantic attributes such as [+vocal linguistic act], [+human], and [+thought]. Among the many speech verbs that fit this concept, ‘말하다’ has the most individual meanings compared to other speech verbs and exhibits a variety of meanings depending on its combination with noun phrases, complements, adverbial phrases, etc. Therefore, due to its complex semantic characteristics, ‘말하다’ is most suitable for this comparative study. By elucidating the correspondences of each meaning of Korean '말하다' and its honorific form '말씀하다,' and Chinese '說,' this study will reveal the subtle differences between Korean and Chinese speech verbs. This will help Chinese learners of Korean to reduce errors caused by mother tongue interference in the process of using Korean speech verbs and contribute to the compilation of Korean-Chinese bilingual dictionaries and translation projects. In this paper, the semantic analysis and contrast were conducted based on the semantic analysis theories presented by Choi Ho-cheol (1993, 1996), Nam Kyung-hwan (2005), and Kim Hye-ryeong (2015). Based on the definitions of Korean '말하다,' '말씀하다,' and Chinese '說' in dictionaries, we conducted semantic evaluation to identify the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in lexical meanings, analyzed the semantic realization conditions, and compared the correspondences. For meanings not listed in dictionaries, we verified their actual usage in real language environments using corpora. Through this process, we investigated the meanings and examples that are not included in dictionaries but are used in reality, and identified the actual semantic correspondences of '말하다,' '말씀하다,' and '說' through tables. The contrastive analysis results show that Korean '말씀하다' and '말하다' correspond only in the dimensions of conveying information and making requests. Korean '말하다' and Chinese '說' do not correspond in the dimensions of making requests, evaluations, introducing marriage matters, and indicating related phenomena, but they correspond in various other dimensions. From this, it is concluded that '말씀하다' and '說' only correspond in the meaning of conveying factual information.

Ⅰ. 머리말

Ⅱ. 발화 동사의 의미 분석

Ⅲ. 의미 실현 대조

Ⅳ.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