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한국고전연구(韓國古典硏究) 제66권.jpg
KCI등재 학술저널

<책중일록>에 나타나는 자기-서사의 수사학

A Study on Rhetoric of self-narrative in Chaekjungilrok

DOI : 10.20516/classic.2024.66.157
  • 19

본고는 심하전투에 대한 패전 경험을 기록한 이민환의 <책중일록>에 나타나는 ‘비극적’ 자기-서사의 수사학에 관해 연구한다. <책중일록>에 나타나는 자기-서사는 단순히 개인의 삶을 서술하는 자서전의 특징을 넘어서, 전란을 마주한 공동체의 모습과 사적 경험을 직조시키는 양상을 보인다. 이 과정에서 이민환은 심하전투에 대한 글쓰기를 통해 독자들에게 전란 상황이나 강화교섭에 대한 사실적인 기록을 전달할 뿐만 아니라, 패배와 생환에 대한 정당성을 설득하기 위한 수사적 전략을 보인다. 이민환은 <책중일록>에서 심하전투에 대한 패전 경험에 대한 글쓰기를 비극의 형식으로 구성한다. 이를 통해 독자들에게 패전 후 살아 돌아온 조선 사회의 이방인이라는 선결 에토스를 넘어서, 비극적인 전란 상황으로 인해 자유의지가 좌절된 ‘어찌할 수 없는 존재’라는 담화적 에토스를 형상화한다. 또한 자신이 경험하고 관찰한 전란이 주는 고난을 생생하게 묘사하여 독자들에게 파토스의 형성을 통한 정서적 몰입을 유도한다. 더 나아가 생환의 정당성을 보여주는 강화교섭에 관한 서사를 후금과 조선군 공동체 사이의 논리에 기반한 문답 형식의 대화로 구성하여 독자들에게 포로로서 경험하게 되는 힘의 우위가 일으키는 상황에 대한 파토스를 일으킨다. 이민환은 <책중일록>에서 독자들에게 ‘비극에 관한 에토스’와 ‘연민을 일으키는 파토스’에 바탕을 둔 정서적 협력을 유발하는 자기-서사 쓰기 양상을 보인다. 이를 통해 자신의 생환에 대한 변호를 위한 기억을 재현하고 화의의 정당성을 확보하기 위해 서사화된 경험을 설득하기 위한 수사 전략을 활용하는 것이다.

This paper studies the rhetoric of ‘tragic’ self-narrative in Lee, Min-hwan’s Chaekjungilrok, which narrates his experience of defeat in Simha Battle. Through his writing in Chaekjungilrok, The self-narrative writing aspect that appears in Chaekjungilrok goes beyond the characteristics of an autobiography that simply describes an individual's experiences, and shows the characteristic of weaving the narrative of the community observed by the individual with one's own private experiences. Lee, Min-hwan not only provides a realistic depiction of the war situation and peace negotiations but also employs rhetorical strategies to persuade readers of the legitimacy of defeat and survival. Lee, Min-hwan structures his narrative of the Simha Battle as a tragedy in Chaekjungilrok. This approach transcends the initial ethos of being an outsider in post-war Joseon society, portraying a discursive ethos of an ‘inescapable being’ whose free will is thwarted amidst the chaos of war. In his work Chaekjungilrok, Lee, Min-hwan vividly depicts the hardships caused by the wars he experienced and observed. He goes further to narrate the peace negotiations through a dialogue-based approach, structured around logical questions and answers. This shows the pathos arising from the power dynamics encountered as a prisoner. Lee, Min-hwan uses this discursive ethos and pathos in Chaekjungilrok to persuade his readers. By eliciting an emotional collaboration based on ‘the ethos of tragedy’ and ‘the pathos of compassion’, he recreates memories to defend his survival and employs narrative strategies to justify the peace negotiations.

1. 들어가며

2. ‘비극적’ 자기-서사로서 <책중일록>에 나타나는 담화적 에토스

3. <책중일록>에 나타나는 파토스의 형성 양상

4. 마치며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