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한국고전연구(韓國古典硏究) 제66권.jpg
KCI등재 학술저널

구비설화에 나타난 ‘치마로 돌 운반하기’ 연구

A Study on “Transporting Stones with Skirts” in Oral Folktale

DOI : 10.20516/classic.2024.66.255
  • 11

본 논문은 구비설화에서 치마가 지형·지물의 재료인 돌을 운반하는 도구로 등장하는 경우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전통적으로 치마는 여성의 옷으로 인식되었으며 치마를 입은 주인공 역시 여성으로 인식되어 왔으나 치마의 의미가 단일하게 형성되지는 않았으리라는 착안에서 출발하였다. ‘치마바위’로 불리는 다양한 설화들에 대한 자세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은 점, 치마로 돌을 운반하는 이야기가 마고할미 등의 여신과 관련되어 주로 거인 신화, 창조 신화의 측면에서 활발히 연구되었음에도 그 창조의 도구에 크게 주목하지 않았던 점을 보완하고자 하였다. 치마로 돌을 운반하는 이야기들은 ‘힘 센 여성 장사가-치마를 사용하여-돌을 운반한다’라는 서사를 전달한다. 여장사가 치마를 사용하는 경우, 그 목적은 땅에 정지해 있었을 돌을 들어올려 이동하는 것이므로 여기서 치마는 돌을 땅으로 끌어내리는 자연의 중력과 반대 방향으로 여장사의 완력을 행사하는 매개체로써의 도구이다. 아울러 이 치마는 바구니 등 다른 도구와 교환 가능한, 선택 가능한 도구가 된다. 치마의 존재는 여장사가 여성임을 드러내나 반드시 그 도구를 써야만 하는 것은 아니다. 그런데 치마가 해어지거나 펼쳐지면서 돌이 떨어지는 경우도 발생한다. 그러한 이야기는 여장사의 실수나 한계를 드러낼 수 있으나 자연적 중력에 의한 우연한 창조를 보여준다면 지형·지물에 대한 관심과 함께 여장사의 완력은 여전히 인정받게 된다. 이러한 경우 여장사의 치마는 여전히 다른 운반 도구와 교환될 수 있다. 그러나 <오누이 힘내기>에서 보듯 가부장제와 같은 외부의 지배 질서에 의해 여장사가 운반을 포기하게 될 경우, 여장사가 직면하게 되는 한계는 문제적이다. 이는 치마가 더 이상 바구니와 같은 도구로 교환될 수 없음을 의미하며, 여성의 실패를 부각하는 성별화된 복장으로서의 치마의 의미가 부각된다. 자연적 중력을 이기는 완력이 부족하지 않음에도 지배 질서의 개입에 의해 치마를 놓게 될 때 여장사의 완력은 더 이상 받아들여지지 않는다. 한편 외적을 방어하기 위해 민중 여인들이 치마로 돌을 운반했다는 ‘행주치마’ 관련 전승에서는 다른 도구와 교환될 수 있는 치마의 의미가 일부 유지된다. 여기서 치마를 통해 행사되는 완력은 평범한 여인들의 힘이 모인 결과로서 집합적 완력의 성격을 띄게 된다.

This paper examines the role of skirts in oral folktale as a means of transporting stones, a material used to create topographical features. It has traditionally been assumed that skirts are exclusively associated with woman's clothing, and that characters depicted wearing skirts are, by extension, female. However, this paper challenges that assumption by arguing that the meaning of skirts is not monolithic.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ddress the gaps in the detailed analysis of the narratives designated as “skirt rocks.” It was observed that the narrative of transporting stones with skirts has been predominantly studied within the context of giant mythology and creation mythology in relation to goddesses such as Magohalmi. However, there has been a paucity of attention directed towards the tools of creation. The narratives of stone-carrying with skirts convey a representation of a strong female character who utilizes her skirt to carry stones. In the case of the woman's use of the skirt, its purpose would have been to lift and move stones that would otherwise remain stationary on the ground. Therefore, the skirt can be considered a tool as medium that enables the exertion of the woman's physical force in opposition to the natural force of gravity, which tends to pull the stones down towards the ground. In addition, the skirt may be regarded as a tool that can be used interchangeably with other items, such as a basket. The utilization of the skirt does not inherently indicate the gender of the individual employing it, nor does it necessitate the use of the skirt rather than other tools. However, there are instances where the skirt is worn or unfurls, resulting in the unintended consequence of stones falling. Such narratives may reveal shortcomings or constraints of the woman, but if they illustrate the inadvertent establishment of natural gravity, interest in topographical features and woman's physical strength remain evident. In such case, a woman's skirt could be exchanged for other transportation tools. Nevertheless, as it is seen in Onuihimnagi(the trial between brother and sister) tale when artificial gravitational forces such as patriarchy compel a woman to relinquish the act of carrying, the constraints she encounters are problematic. This indicates that the skirt is no longer interchangeable with tools such as baskets, thereby underscoring the meaning of the skirt as a gendered clothing. Despite retaining the capacity to overcome natural gravity, the strength of the strong woman is no longer approved when the skirts are let down by the intervention of the ruling order. On the other hand, in the “dishcloth skirt” tales, in which common women carried stones with their skirts to defend against foreign enemies, the skirt retains some of the meaning of a skirt that can be exchanged for other tools, but the power exerted through the skirt takes on the character of collective power as a result of the gathering of ordinary women.

1. 들어가며

2. ‘치마로 돌 운반하기’가 등장하는 구비설화의 전승 양상

3. ‘돌을 운반하는 치마’의 의미망: 교체 가능한 운반 도구에서 성별화된 복장까지

4. 나오며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