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한국어 교육 연구 제22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교착어적 특성을 활용한 한국어문법교육 연구 - 서울대 한국어 초·중급 교재를 중심으로

A Study on Grammar Education Using the Agglunative Language Characteristics of Korean: Focusing on 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n Elementary and Intermediate Textbooks

DOI : 10.25022/JKLER.2024.22.113
  • 140

본 연구는 기존 “한국어 교재의 구성 및 내용 분석 연구”(2021)에서 제기했던 내용을 진행하며 발전되었다. 이전 연구에서 구두 언어 중심의 교재 구성상 특징이 문법 교육의 체계와 연계 미비로 이어졌다고 봤는데 이번 연구는 이러한 문법 교육의 문제를 교착어라는 한국어의 특성에서 찾아보고 있다는 점에서 연계된다. 교착어적 특성에 주목한 이유는 격조사나 어미가 외국인 학습자의 주요 오류 유형으로 지적되기도 하고 기본 원리 이해에 적합하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그래서 1~4급 단원별 목표 문법을 문법형태소 단위로 분석해 교착어적 특성이 드러나는 문법 범주를 설정해 분류했다. 분류항목은 조사가 결합되는 문법, 어미가 결합되는 문법, 기타 어휘로 이는 문법을 구성하고 있는 최소한의 단위인 조사나 어미의 문법적 역할을 기준으로 했다. 그리고 조사 결합 문법과 어미 결합 문법을 초, 중급으로 나누어 문법 내용을 알아보았다. 어미 결합 관련 문법은 전 급수에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해 한국어가 서술어 중심이라는 점과 어미의 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초급에서 기본문장 구성에 필요한 종결어미, 연결어미, 선어말어미, 일부 전성어미나 보조적연결어미가, 중급에서 문장을 구성하는 전성어미나 의미를 더하는 보조적연결어미, 다양한 종속적연결어미가 문법 내용으로 필요했다. 조사 결합 관련 문법은 초급에서 기본문장을 구성하는 격조사가, 중급에서는 특별한 의미를 추가하는 보조사가 문법 내용으로 요구되었다. 교착어라는 한국어의 유형적 특성이 한국어 문법 교육의 내용을 선정하고 체계를 세우는 데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This study is developed by proceeding with the contents of “A Study on the Composition and Content Analysis of Korean Textbooks” (2021). Previous studies have shown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ructure of textbooks centered on oral language have led to a lack of linkage with the system of grammar education, and this study is linked to the fact that the problem of grammar education is found in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language called agglutinative language. The reason we paid attention to the agglutinative language characteristics was that it was sometimes pointed out as a major type of error by foreign learners, and it was considered suitable for understanding the basic principles. Therefore, by analyzing the target grammar for each level 1 to 4 in units of grammatical morpheme, a grammar category that revealed agglutinative language characteristics was set and classified. The classification items are grammar in which postpositions are combined, grammar in which endings are combined, and other vocabulary, which is based on the grammatical role of the ending or postposition, which is the minimum unit that constitutes grammar. Additionally, the grammar content was investigated by dividing the postposition combination grammar and the ending combination grammar into elementary and intermediate levels. The grammar related to ending combination occupied the highest proportion in the entire levels, confirming that Korean is predicate-oriented and the importance of the ending. The grammar content required for basic sentence composition at the beginner level was a final ending, a connection ending, prefinal ending, and some of transformative ending and auxiliary connective ending, In intermediate level, transformative ending that organizes sentences, auxillary connective ending that adds meaning, and various subordinate connective ending were required as grammar content. For grammar related to postposition combination, a case-marking postpositional particle that constitutes a basic sentence at the beginner level and a auxiliary postpositional particle that adds special meaning at the intermediate level were required as grammar content. It is hoped that the agglutinative language, typ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language, will help to select and organize the contents of Korean grammar education.

1. 들어가는 말

2. 초, 중급 단원별 목표 문법의 내용과 분석

3. 교착어적 특성을 활용한 한국어 문법 교육

4.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