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한국어 교육 연구 제22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한국 코미디 프로그램 속 다문화 가정의 고정관념 분석 - ‘외국인 며느리 니퉁의 인간 극장’을 중심으로

Analysis of Stereotypes in Multicultural Families in Korean Comedy Programs: Focusing on ‘Human Theater of the Foreign Daughter-in-Law Nitong’

DOI : 10.25022/JKLER.2024.22.209
  • 104

본 연구는 한국 코미디 프로그램 ‘외국인 며느리 니퉁의 인간 극장’에 나타난 다문화 가정의 고정관념을 분석하였다. 연구를 위해 여섯 개의 에피소드를 전사하여 다문화 가정 내 여러 상황에서 발생하는 인물의 발화와 행동을 바탕으로 고정관념을 수집하고 구분하였다. 분석 결과 시어머니와 며느리 니퉁의 발화 빈도가 가장 높았는데, 이는 시어머니의 권위적 위치와 며느리의 종속적 역할을 반영한다. 반면 남편의 발화 빈도는 상대적으로 낮았으며, 이는 남편이 주로 갈등 상황에서 중재자 역할을 하며 집안일에 직접적으로 개입하지 않는 모습을 보여준다. 고정관념 유형별 분석에서는 가사 노동, 가족 내 역할, 문화적 요소, 언어적 문제, 외모와 나이에 대한 고정관념이 나타났다. 가사 노동과 관련하여 시어머니의 지시와 니퉁의 수행, 남편의 비개입적 태도가 재생산되었으며 전통적 가부장적 역할과 시어머니의 권위, 며느리의 종속적 역할이 강조되었다. 또한 음식 문화, 생활 방식, 언어적 차이 등 문화적 요소가 갈등의 원인으로 나타났으며, 언어적 오해와 갈등, 발음 문제가 주요 갈등 요소로 작용하였다. 그리고 외모 평가와 비하에 따른 고정관념도 등장하였다. 본 연구는 매체가 다문화 가정에 대한 고정관념을 어떻게 형성하고 강화하는지를 밝히며, 다문화 가정 구성원이 사회 내에서 겪는 차별과 불평등의 요소를 파악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한다. 그리고 다문화 교육과 매체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시청자가 매체를 비판적으로 수용할 필요성을 제시한다. 나아가 다양한 문화적 배경을 이해하고 존중하는 사회적 포용성을 증진하는 데 일조한다.

This study analyzes the stereotypes of multicultural families presented in the Korean comedy program ‘Foreign Daughter-in-Law Nitong’s Human Theater’. To achieve this, six episodes were transcribed, and the interactions and behaviors of the characters were examined to collect and categorize the stereotypes. The analysis revealed that the frequency of speech by the mother-in-law and the daughter-in-law Nitong was the highest, reflecting the authoritative position of the mother-in-law and the subordinate role of Nitong. In contrast, the husband's speech frequency was relatively low, indicating his role as a mediator in conflict situations and his lack of direct involvement in household affairs. The analysis of stereotype types identified those related to household labor, family roles, cultural elements, language issues, and appearance and age. Household labor stereotypes were reproduced through the mother-in-law's instructions and Nitong's compliance, emphasizing traditional patriarchal roles, the mother-in-law's authority, and the daughter-in-law's subordinate role. Additionally, cultural elements such as food culture, lifestyle differences, and language issues were found to be sources of conflict, with misunderstandings, conflicts, and pronunciation issues being major factors. Stereotypes related to appearance and age, including evaluations and derogations, were also present. This study elucidates how media forms and reinforces stereotypes about multicultural families, providing valuable insights into the discrimination and inequality faced by multicultural family members in society. It underscores the importance of multicultural education and media literacy, suggesting the need for viewers to critically engage with media. Ultimately, the study contributes to enhancing social inclusivity and respect for diverse cultural backgrounds.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 방법

4. 다문화 가정에 대한 고정관념 분석

5.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