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제48집 3권.jpg
KCI등재 학술저널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이 전환사원의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 제도적 디커플링 관점에서 본 공공기관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 과정

An Empirical Study on the Enforced Implementation of the Policy of Conversion of Non-regular Workers to Regular Workers and its Effects on Converted Employee: From an Institutional Decoupling Perspective

DOI : 10.36459/jom.2024.48.3.25
  • 78

본 연구는 수년 전 정부가 추진했던 비정규직의 정규직화 정책과 그 구체적인 전환과정을 제도적디커플링(institutional decoupling) 관점에서 고찰해 보고, 그러한 전환 이후 조직 구성원들이 디커플링을 인식하게 될 경우 이들의 조직 및 직무관련 태도에는 어떠한 영향이 미치는 지, 또 그러한 영향관계의 구체적인 심리적 경로와 메카니즘은 무엇인지를 실증적으로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위해, 국내 공공기관에서 정부의 정규직화 정책에 의해 정규직으로 전환된 사원들을 대상으로설문조사를 실시하고 분석해 보았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먼저 조직 구성원들이 지각하는 제도적 디커플링 인식은 이들의 심리적계약 위반 인식에 정(+)의 영향을, 그리고 조직정체성에는 부(-)의 영향을주고 있었다. 또한 심리적계약 위반 인식은 조직정체성과 같은 조직관련 태도는 물론, 직무열의와 같은직무관련 태도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본 연구에서는 정규직 전환 이후전환사원들이 경험하는 제도적 디커플링 인식과 이들의 직무열의 간의 관계에서, 조직정체성의 매개효과와 함께, 심리적계약 위반 인식과 조직정체성이 그 영향을 순차적으로 이중매개하는 것을 확인할수 있었다. 이러한 본 연구의 분석결과에 기반하여, 조직 내 새로운 제도나 프로그램 도입시 제도적디커플링과 그것이 수반할 수 있는 여러 부작용들을 가급적 최소화할 수 있는 실행 및 관리방안에 대해 토론하였다.

In 2017, Korean government has massively drived the policy of conversion of nonregular workers to regular workers in most public institutions in Korea. In the course of this enforced implementation of the policy, there have emerged many diverse disconnects between the government espoused in its formal policy and how it actually settled down in individual organizations. With this context as an empirical setting of our research, this study has interested in finding how such institutional decoupling the adoption of formal policy from their actual implementation affects the perceptions and attitudes of the converted regular employees. For this research, we conducted a survey on employees working in Korean National Park Service(KNPS) who have acquired the status of regular worker due to the conversion policy enforced by the government. The results of analysis indicated that the perceived institutional decoupling by members of the organization was positively related to their perception of psychological contract breach and negatively related to their organizational identity. And it was also found that the perception of psychological contract breach negatively affected not only to the organizational attitudes such as organizational identity but also to job-related attitudes such as work engagement. In addition, the double mediating role of the psychological contract violation and organizational identity was observ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ived institutional decoupling and work engagement.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prac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are then discussed.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토론: 연구의 의의와 시사점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