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말 ‘부엌일’의 여성 주체화와 지식정보화 - 曾懿 《中饋錄》의 출판과 담론을 중심으로
A Study on Women’s Subjectization and Knowledge Informatization of Kitchen Work in the Late Qing Dynasty: Focusing on the Publication and Discourse of ZengYi(曾懿)’s Zhongkuilu(中饋錄)
증의는 아편전쟁 이후 서구 근대문명의 급속한 유입으로 매우 혼란했던 청말에 활동했던여성 中醫이다. 그는 1907년 여성 독자를 대상으로 여성 고유한 영역의 일인 부엌일을 체계적으로 지식 정보화하여 《중궤록》를 출판했다. 본 고에서는 이 책을 연구 대상으로 삼아 부엌일이 사회적으로 담론화되어 근대적 이데올로기화하는 과정과 양상에 대해 고찰했다. 이를 위해 다음 두 가지 방향에서 연구를 진행했다. 첫째, 청말 전통 사대부 집안의 전통 유교교육을 받은 여성 증의가 청말 세계열강의 유입과 시대 상황을 어떻게 파악하고 대처하고있는지, 그리고 근대문명에 대한 인식과 실천 양상에 대해 살펴보았다. 둘째, 지금까지 주류정치집단의 거시적인 청말 민초 여성 계몽운동에 대한 시각과 방법에서 탈피해, 여성의 전통적인 가사노동 가운데 가정의 건강과 생명에 직결되는 음식 제공과 관련한 부엌일을 통해이 시기 여성 계몽운동 양상에 대해 분석했다.
Zheng Yi(曾懿) was a female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practitioner active during the late Qing Dynasty, a period marked by great confusion due to the rapid influx of Western modern civilization following the Opium Wars. In 1907, she published Zhongkuilu(中饋錄), a solo work that systematically transformed knowledge about kitchen work, a domain traditionally specific to women, into informational content aimed at female readers. This study examines the process and aspects of how kitchen work became a social discourse and modern ideology through this book. To this end, the research was conducted in two directions. First, it explored how Zheng Yi, a woman educated in traditional Confucian values within a traditional gentry family during the late Qing Dynasty, understood and responded to the influx of world powers and the contemporary situation, as well as her perception and practice of modern civilization. Second, departing from the macro perspectives and methods of the mainstream political groups’ enlightenment movements for women during the late Qing Dynasty, this study analyzed the aspects of women’s enlightenment movements during this period through kitchen work related to providing food, which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health and life of the family, among women’s traditional household chores.
1. 머리말
2. 《중궤록》의출판상황
3. 청말‘부엌일’의이데올로기화와담론화
4.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