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도 정선 오지의 ‘안돌이지돌이다래미한숨바우’는 역사성, 지역성, 신비성이 두드러진 국내 최장(最長)의 옛길 이름이나, 방치되어 흔적조차 사라질 위기에 처해 있다. 이에 따라 현장 답사와 이해관계자 심층 인터뷰를 통해 지명 유래담을 추출하고 데이비드 허만(David Herman)의 원형 서사 구조론을 적용해 서사 분석한 뒤, 카렌 베인(Karen Bain)의 스토리텔링 모델을 적용해 보전방안을 마련했다. 분석결과, 지명의 뜻은 ‘바위를 몸에 안거나 등지고 겨우 돌아가야 하기에 다람쥐조차도 어처구니가 없어 한숨을 쉬는 절벽 바위길’로 분석됐다. 정설(定說)과 이설(異說)의 서사를 종합하면 고립지 산촌의 고난사, 자연의 위협에 맞서는 적극적 인생관과 여유, 공동체의 협업 정신이 담겨 있었다. 문화자원으로 잘 보존하려면 기존 스토리의 완결성 등을 보강하고 주변 9개 마을의 경관·전통 요소를 통합해 ‘안돌이 옛길 별천지 숲속마을’로 리스토리텔링 하는 전략이 유효한 것으로 나타났다.
‘Andoljidolidaeraemihansumbau’ straddled a remote canyon area in Odaecheon Stream of Jeongseon, Gangwon state, is the longest old road name in Korea with outstanding historicity, regionality, and mystique, but it is on the verge of being abandoned and forgotten. In this study, I collected the origin stories of place names through field trips and in-depth interviews with stakeholders, and analyzed the narratives by applying David Herman’s Archetypal Narrative Structure Theory and then created re-story conservation plans by using Karen Bain’s Storytelling Model. As a result, the meaning of the place name was analyzed as ‘a risky rocky cliff road where even squirrels sigh in bewilderment because they had to barely go around holding the rock or turning their back.’ Combining the orthodox and heterodox oral traditions, it contained an active view of life and high-heartedness against the threats of nature, and the spirit of community collaboration in the life of isolated mountain villages. In order to preserve it as a cultural resource, the strategy of reinforcing the completeness of the existing story and integrating the landscape and traditional elements of the surrounding nine village to create a ‘Andori Old Road Byeolcheonji Forest Village’ was found to be suggestive and effective.
1. 머리말
2. 지명 유래담의 문화유산 가치와 스토리텔링 이론
3. 지역탐방과 현장연구
4. 옛길의 유래담 분석과 보전전략
5. 맺음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