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창의적 수행에 대한 인지유연성, 공유리더십 및팀 리더의 코칭의 다수준 영향

The Multi-level Impact of Cognitive Flexibility, Shared Leadership, and Coaching of Team Leaders on Creative Performance

DOI : 10.26856/kjom.2024.32.3.35
  • 69

조직 내/외부 작업시스템의 상호의존성과 불확실성이 증가하며, 조직성과의 기저가 되는 팀과 개인에게 주도성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팀의 주도성으로 공유리더십을, 개인의 주도성으로 창의적 수행을 설정하여, 사회적 교환 이론 관점에서 선행요인과 교차수준 관계를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다양한 조직에 속한 37개 팀 150명의 데이터를 수집해 다수준 모형(Multilevel model)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개인 수준에서 창의적 수행에 평가 공정성과 인지유연성이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교차수준 직접효과로 공유리더십은 창의적 수행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교차수준 조절효과로 공유리더십과 팀장의 지지적 코칭이 인지유연성과 창의적 수행 간 관계를 정적으로 조절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 교환 이론이 개인의 주도성에 대한 동기를 설명함을 확인 함으로써, 사회적 교환 이론 확장에 기여하였다. 둘째, 팀장의 지지적 코칭과 공유리더십이 인지유연성과 창의적 수행 간 관계를 변화시키는 팀의 환경요인임을 밝혔다. 셋째, 다수준 모형에서 공유리더십의 교차수준 효과를 밝히는데 기여하였다. 대부분의 연구가 팀 수준 결과에 초점을 두고 진행되었다. 그러나, 조직과 팀의 성과는 개인의 수행이 기저가 되므로, 개인에 대한 영향력을 확인하는 것 또한 중요하며, 다수준 모형을 통하여, 공유리더십 이론에 대한 생태학적 오류(ecological fallacy)를 줄이고자 하였다. 연구의 실무적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에 초점을 두고 높은 수준의 창의적 수행을 보일 지원자를 선발하기 위하여, 채용 단계에서 지원자의 인지유연성을 평가하며, 적합한 지원자를 선별할 수 있다. 둘째, 직원이 주도적으로 창의적 수행을 하도록 동기부여하기 위해 조직은 평가 과정과 평가 후 분배에 대한 공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셋째, 구성원들이 자신의 인지유연성을 활용하여 창의적 업무수행을 하기 위하여, 팀환경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 팀장은 지지적 코칭을 발휘하고, 팀원 간 공유리더십을 촉진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한계점과 미래 연구의 방향에 대해 제언하였다.

The interdependence and uncertainty of the internal/external work system of the organization increase, and proactivity is required from the teams and individuals that are the basis of organizational performance. In this study, shared leadership was set as the proactivity of team and creative performance was set as the proactivity of individual. And the antecedents and the cross-level relationship were investigated, based on the perspective of social exchange theory. The data of 150 employees from 37 teams belonging to various organizations were collected and the multilevel model was tested. As a result, appraisal justice and cognitive flexibility had effects on creative performance at the individual level. As cross-level direct effect, shared leadership had an effect on creative performance. As cross-level moderating effect, shared leadership and the leader supportive coaching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flexibility and creative performance.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by confirming that the social exchange theory explained the motivation for individual initiative, it expanded the social exchange theory. Second, it was revealed that the team leader's supportive coaching and shared leadership are environmental factors that change the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flexibility and creative performance. Third, it revealed that the cross-level effect of shared leadership in the multi-level model, which we reduced ecological fallacies in shared leadership theory. The limitations of the research and the direction for future research were also discussed.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가설 도출

Ⅲ. 연구 방법

Ⅳ. 결과

Ⅴ. 논의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