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보건과 사회과학 제66집.jpg
KCI등재 학술저널

보건·의료계열 종사자의 정신적 웰빙을 저해하는 산업안전 유해요인 분석 - 의사, 간호사, 의료기사를 중심으로

Analysis of Occupational Safety Hazard Factors that Hinder Health and Medical Worker's Mental Well-being - Focusing on Doctor, Nurse, Medical Technician

DOI : 10.37243/kahms.2024.66.51
  • 239

국민 건강과 생명보호를 위해 질병·재난의 최전선에서 고군분투하는 보건·의료계열 종사 자의 산업안전이, 건강성을 해치는 작업 환경 유해요인들로 인해 위협받고 있다. 이들이 유해요 인에 빈번히 노출되고 정신적 웰빙 위험이 누적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의료 업무로 세팅된 작 업 환경 특성상 직업성 질환과 산업재해로부터 안전할 것”이란 안일한 인식들로, 이들의 건강성 에 대한 사회적 논의와 국가적 노력은 미흡했다. 보건·의료계열 종사자의 정신적 웰빙 위험이 제때 치유되지 못하면, 직무몰입 저하로 개인 건강은 물론 환자 생명에 치명타를 입혀 국민 건 강이 위협받고 국가적 위기가 초래될 수 있기에, 한국 사회는 산업안전의 중요성을 제고 할 필 요성이 크다. 이에 본 연구는 동시다발적 위험요인의 노출이 누적될수록 인간이 겪는 내·외현 화 문제 파급력이 더 커진다는 Rutter의 ‘누적위험 모델’에 근거하여 의사, 간호사, 의료기사를 중심으로 보건·의료계열 종사자의 정신적 웰빙을 저해하는 산업안전 유해요인을 분석하였다. 산업안전보건연구원의 제6차 근로환경조사에 참여한 보건 의료계열 종사자·749명을 대상으로 SPSS Statistics 29.0을 활용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산업안전 유해요인에 노출될수록 보건·의료계열 종사자의 정신적 웰빙이 저해되었으며, 이들의 정신적 웰빙을 저해하는 산업안전 유해요인은 감정노동과 양적 노동강도로 최종 검증되었다. 이에 연구결과를 토대로 ① 보건·의료계열 종사자의 정신적 웰빙을 저해하는 산업안전 유해요인에 효과적으로 대응할만한 서비스 및 정책, ② 산업안전 유해요인 노출 문제에 관한 예방·해결방안, ③ 보 건·의료계열 종사자의 정신적 웰빙 증진을 도모하는 맞춤형 전략을 제언하였다.

The industrial safety of health and medical workers who struggling on the front lines of diseases and disasters to protect public health and life, is threatened by working environment hazard factors that damage health. Despite they are exposing to hazard factors and accumulating mental well-being risks frequently, the social discussions and national efforts for their health were insufficient due to complacent perceptions that “They would be safe from occupational diseases and industrial accidents because of the working environment characteristic that set as medical work”. Korean society needs to enhance the importance of industrial safety because if the mental well-being risk of health and medical workers is not healed in proper time, the deterioration of work engagement can harm personal health and patient life and threat public health and cause a national crisis.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occupational safety hazard factors that hinder health and medical worker's mental well-being focusing on doctor, nurse, medical technician based on Rutter's ‘Cumulated Risk Model’ that explaining the more accumulate of exposure to simultaneous risk factors, the greater ripple effect of human's internalization and externalization problem.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with SPSS Statistics 29.0 for 749 health and medical workers who attended the 6th Korean Working Conditions Survey published by the Kore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Research. As a result, the health and medical worker's mental well-being were hindered whey they exposure to occupational safety hazard factors, emotional labor and quantitative labor intensity were finally verified as occupational safety hazard factors that threatened the mental well-being of them.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① services and policies to effectively counter occupational safety hazard factors that hinder the health and medical worker's mental well-being, ② prevention and solution plan about exposure problem to occupational safety hazard factors, ③ customized strategies to promote health and medical workers' mental well-being.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