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문예지의 대중화 및 탈지방화 전략 - 일제 강점기 진주 지역문예지 『신시단(新詩壇)』을 중심으로
The Strategies for Popularization and Delocalization of Regional Literary Magazines : Focusing on the Jinju Regional Literary Magazine Shinsida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이 연구는 진주 지역문예지 『신시단』을 중심으로 근대 지역문예지의 의미를 문화사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특히, 일제강점기 근대 문예지인 『신시단』을 통해 지방에서 일어났던 문예운동을 탐구하고, 지역적 위계를 넘어서려는 노력과 전략을 살펴보았다. 『신시단』은 문화와 문학의 중심이었던 서울이 아닌 소외된 지방을 새로운 중심으로 문학을 확대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를 한 문예지로, 1920년대 후반의 문학 대중화 운동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로 분석된다. 한편, 서울과 지방의 지역 위계는 문학 연구에서도 뚜렷하게 나타났으며 서울 중심 연구가 주를 이루는 등 지역 문학의 관심과 논의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이미 1980년대 후반 지방자치법 개정 이후 지방자치 시대가 되면서 이러한 문제가 인식되고 운동 차원에서 논의된 바 있다. 하지만 이러한 논의는 아쉽게도 지역 문학의 가치를 정확히 이해하지 못하여 문학 연구의 확장을 막아왔다. 즉, 지역 문학은 지역 간의 수평적 연대를 기반으로 해야 하며, 단순히 ‘지방문학’으로만 치부되어서도 안 된다. 지역문예지는 지역 문인 간의 소통뿐만 아니라 지역민과의 소통을 통해 지역 문학의 발전에 일조하는 역할을 한다. 『신시단』은 이러한 역할에 더하여 타지역의 다양한 작가들과의 연결고리 역할을 했으며 농민과 여성이 작가로 발돋움할 수 있도록 발판을 마련하기도 하였다. 또한, 일제에 대한 저항하는 등 검열이라는 체제에 맞서는 방식으로 독자와 소통하며 독자의 의식을 높이고 서울의 낙수를 기다리는 지방이 아닌, 지방이 중심이 되어 세계로 뻗어나가려는 기획 등 지역 위계를 넘어서는 진취적인 전략 등 다양한 문예운동을 시도하였다. 따라서 진주의 『신시단』은 지방 문예운동을 활성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 근대자료로 평가된다. 지역 문학은 한 지역에 한정되고 동떨어진 문학이라고 할 수 없다. 한 시대를 공유하는 구체적인 문학 현실이라는 점에서 그 의미가 오히려 크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일제강점기에 진주 지역을 거점으로 지역문예운동을 시작한 『신시단』이야 말로 한 지역을 넘어 한국문학사에서 새로운 가치로 평가받을 만한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culturally and historically analyze the significance of modern regional literary magazines, focusing on the Jinju regional literary magazine Shinsidan. In particular, through Shinsidan, a modern literary magazine from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study explores literary movements that took place in local regions and examines efforts and strategies to transcend regional hierarchies. Shinsidan, as a literary magazine that attempted to expand literature in regions marginalized from the cultural and literary center of Seoul, is analyzed as an important source for understanding the late 1920s movement of literary popularization. In literary research, the clear hierarchy between Seoul and regional areas has long been evident, with Seoul-centric studies dominating and limited interest and discussion on regional literature. Since the comprehensive revision of the local autonomy law in the late 1980s, issues related to regional literature have gradually been recognized and discussed at the level of literary movements. However, such discussions have unfortunately hindered the accurate assessment of the value of regional literature, thus impeding the expansion of literary research. Therefore, regional literature should be viewed based on horizontal solidarity between regions, rather than simply being labeled as “regional literature.” Regional literary magazines have played a role not only in facilitating communication among regional writers but also in promoting the development of regional literature through communication with local residents. Shinsidan not only served this role but also acted as a link between various writers from different regions, providing a platform for farmers and women to emerge as writers. Moreover, it employed strategies to transcend regional hierarchies, such as resisting Japanese censorship and engaging in communication with readers, aiming to establish local regions as centers reaching out to the world. Therefore, the Jinju-based Shinsidan is evaluated as an important modern source that revitalized regional literary movements. Regional literature should not be limited to a specific area or viewed as detached literature but rather recognized for its significance in sharing specific literary realities of a given era. Thus, Shinsidan, which began as a regional literary movement centered in Jinju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should be acknowledged as having new value in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1. 서론
2. 지역민의 문화의식 고취와 대중화 전략
3. 탈지방화와 새로운 중심되기
4.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