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한국지방행정학보 제21권 제2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개인의 지역소속감이 사회 소수자 포용성에 미치는 영향 - 사회참여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mpact of an individual’s Sense of Local Belonging on the Social Inclusion Toward Social Minorities :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Participation

DOI : 10.32427/klar.2024.21.1.237
  • 115

지역사회의 구성원이 다양해지면서 잠재적 갈등수준이 높아지는 바,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정체성이 다양한 이질적인 집단을 포용하는 방향으로 발현되는지 확인하고, 사회 포용성 수준을 높이는 구체적인 방안에 대한 논의를 이끌어내는 데 있다. 따라서 사회 정체성 이론 및 사회 자본의 유형별 논의를 활용하여, 지역정체성이 사회 포용성이 미치는 영향과, 나아가 사회 포용성 수준을 높이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으로서 사회참여의 가능성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한국행정연구원의 2023년 사회통합실태조사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지역정체성(소속감)과 사회 포용성은 부정적 관계를 보였다. (2) 결속형 참여 중 동창회・향우회 참여는 (1)의 관계에 유의하지 않은 영향을 미친 한편, 지역사회 참여는 긍정적으로 조절하였다. (3) 교량형 참여는 사회 포용성 및 (1)의 관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이는 사회 소수자 집단에 대한 포용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지역사회 구성원들의 지역정체성 및 사회 참여의 유형에 대한 세심한 정책적 고려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relation between an individual’s local identity and the inclusion toward social minorities, explor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participation. Applying Social Identity theory, this study provides empirical evidence on whether local identity expresses as a common in-group identity. Using data set from the ‘Social integration survey’ on 2023, this study shows the following results; (1) local identity(sense of belonging) and social inclusion toward social minorities shows a negative relation; (2) local participation out of bonding participation has positive moderating effect on social inclusiveness, while alumni association has non-significant effect; (3) bridging participation has positive moderating effect on social minority. These results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attributes of social participation as well as individual’s sense of belonging toward local community, in order to enhance social inclusion for social minority groups.

Ⅰ. 서 론

Ⅱ. 이론적 논의

Ⅲ. 연구설계

Ⅳ. 분석 결과

Ⅴ. 결 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