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백산학보 第129號.jpg
KCI등재 학술저널

동심원 암각화의 제작 시기 및 상징성 고찰 - 영남 내륙 지역을 중심으로

Examination of the Dating and Symbolism of Concentric Circle Petroglyphs : Focusing on the Yeongnam Inland Region

DOI : 10.52557/tpsh.2024.129.5
  • 16

이 글은 국내에서 조사된 동심원 암각화의 제작 시기를 파악하여 시대 배경하에 유적의 성격과 문양의 상징성을 찾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제작 시기는 암각화 연구의 핵심이자 난제로 외부로 노출된 특성상 분묘유적이라고 해도 다양한변수가 존재한다. 하지만 노출 없이 조사된 부여 송국리 1호 석관묘의 개석에서 성혈과 동심원 암각이 확인되어, 이를 기준으로 지역 간 공통 요소를 추출하여 제작 시기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 동심원암각화는 청동기시대 중·후기에 새겨진 것으로 파악하였고, 제작 시기를 나누어 전파 경로를 추정하였다. 청동기시대 중·후기는 대부분 기존보다 발전된 농업을 기반으로 하는 사회로 계층 분화와 함께 전반적인 사회변화가 이루어졌다. 이런 배경 속에서 암각화가 새겨진 분묘유적은 단순 장송 의례를넘어 선대의 존숭이나 기원 등을 담은 공간으로 이해된다. 또한 수변의 수직 암벽에서도 확인된다는점을 통해 풍요제의 등도 행해진 복합 의례 공간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이렇게 동심원 암각화가 새겨진 곳이 의례 장소이듯 동심원 문양 역시 같은 맥락으로 이해되며, 상징하는 바는 태양이나 물 등으로 다양하게 논의되지만, 입지와 당시의 시대적 배경을 토대로 했을 때 물과 연관성이 깊어 보인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age of concentric circle petroglyphs and to elucidate the character of the sites and the symbolism of the motifs within their historical context. The determination of the age is a central yet challenging aspect of petroglyph research, given their exposure to external elements. This is true even for those found in burial sites, where various factors can influence the dating. However, the discovery of cup marks and concentric circle motifs on the cover stone of Songguk-ri No.1 stone cist tomb in Buyeo, which was investigated without exposure, provided a basis for examining the age by extracting common elements across regions. Consequently, it was determined that the concentric circle petroglyphs were engraved during the middle to late Bronze Age. The ages were delineated to estimate the diffusion routes. The middle to late Bronze Age, characterized by advanced agricultural practices, witnessed significant social changes and the emergence of social stratification. In this context, burial sites with engraved petroglyphs are understood to be spaces that went beyond simple funerary rites to include ancestor veneration and other ritualistic purposes. Additionally, the presence of petroglyphs on vertical rock faces near watersides suggests these sites were multifunctional ceremonial spaces, likely used for rituals promoting prosperity and other communal activities. Thus, sites with concentric circle petroglyphs are understood to be ceremonial spaces, and the motifs themselves are interpreted within this context. While the symbolism of these motifs is widely debated, with suggestions including the sun or water, their locations and the historical context suggest a stronger association with water rather than the sun.

Ⅰ. 머리말

Ⅱ. 유적의 분포 현황과 개요

Ⅲ. 고고학적 특징

Ⅳ. 제작 시기 검토 및 동심원 암각화의 상징성

V.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