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한국고대사탐구 제47집.jpg
KCI등재 학술저널

충주 고구려비의 新羅土와 寐錦土의 분석과 麗羅 관계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Goguryeo and Silla with the Analysis of Silla-To(新羅土) and Maegeum-To(寐錦土) Inscribed on the Goguryeo Monument at Chungju

DOI : 10.12345/kdps.2024.8.47.183
  • 21

이 글은 충주 고구려비에 나타난 용어인 ‘新羅土’와 ‘寐錦土’를 검토해 그 의미를 확인하고, 이를 바탕으로 고구려의 신라 영토 인식과 양국 관계의 변화를 살펴본 것이다. 비문 내 양국 간 우열관계 설정은 고구려의 천하관에 기반한 이상적 인식에서 비롯된 것이었으며, 이는 신라에 대한 현실을 직시하면서 추구되었을 것으로 보았다. 비문에서 매금토는 독립성을 지녔으나, 고구려의 질서에 포함해야 할 대상으로 묘사된다. 매금토는 복속의례를 통해 東夷寐錦土로 변화되었다. 반면 신라토는 매금토와 구별되며, 고구려에 종속적인 성격을 드러내고 있었다. 고구려의 천하관에 기반한 大王國土는 중앙과 지방을 구분하지 않고 모두 포괄하는 용어로 파악되며, 신라토와 매금토는 신라가 매금을 중심으로 모든 영역을 아우르는 천하관이나 국토관을 확립하지 못한 현실을 반영한 용어로 보인다. 마립간기 신라의 지방지배는 대체로 재지세력을 매개로 한 간접지배 방식이었다. 신라토는 매금의 지배력이 간접적으로 미치는 영역이자, 재지세력이 관할하는 변경과 주요 교통로였다. 고구려 광개토왕의 400년 남정 이후 신라토는 신라와 고구려의 지배 형태가 교차하는 지점이 되었다. 매금과 신라 왕경인들은 지방에 대한 배타적 인식을 가지고 있었다. 매금토는 매금의 지배력이 직접적으로 미치는 영역이자, 사로국 중심의 신라 중앙이었다. 대왕국토 개념을 정립한 고구려는 신라의 지방지배 방식을 인식하고, 신라의 영역을 신라토와 매금토로 구분하였다. 고구려는 매금을 정점으로 한 신라 영토의 성립을 인정하지 않은 것이다. 5세기 중반부터 신라는 신라토의 주요 교통로와 재지세력에 대한 지배력을 점차 강화하였다. 이에 고구려는 비를 건립하여 신라 매금과의 관계를 회고하고, 매금토와 신라토를 구분하여 기술했다. 고구려는 일방적으로 신라토에 대한 영향력 회복 의지를 선포하였으나, 신라토는 신라 매금의 지배체제내로 재편되어 갔다. 요컨대 5세기 중반 이후 고구려로부터 신라의 탈피는 고구려가 ‘신라토’로 규정한 재지세력에 대한 신라의 지배체제 강화였다. 충주 고구려비의 ‘신라토’와 ‘매금토’는 이러한 양국 관계 변화 속에서 성립했다.

This paper examines the terms ‘Silla-To’ and ‘Maegeum-To’ as found in the Goguryeo Monument at Chungju to determine their meanings. Based on this analysis, it explores Goguryeo's perception of Silla's territory and the chang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nations. The hierarchical relationship depicted in the monument's inscriptions stems from Goguryeo's idealized perception based on its world view, which likely was pursued while acknowledging the reality of Silla. In the inscription, Maegeum-To is described as having independence but as a target that should be included in Goguryeo's order. Maegeum-To changed to Dongi Maegeum-To through the rite of obedience. In contrast, Silla-To is distinguished from Maegeum-To and revealed a subordinate nature to Goguryeo. The term ‘Daewang Gukto’, based on Goguryeo's world view, encompasses both central and local areas without distinction. Silla-To and Maegeum-To reflect the reality that Silla had not established a world view or territorial concept encompassing all areas around Maegeum. During the Maripgan period, Silla's local governance was generally indirect, mediated through local forces. Silla-To was an area where Maegeum's influence indirectly extended, and it was governed by local forces who controlled the border regions and major transportation routes. After King Gwanggaeto's southern expedition in 400, Silla-To became the point where Silla and Goguryeo's governance forms intersected. Maegeum and the Silla royal court had an exclusive perception of the local areas. Maegeum-To was the area where Maegeum's influence directly reached and was the center of Silla, centered on Saroguk. Goguryeo, which established the concept of ‘Daewang Gukto’, recognized Silla's local governance method and divided Silla's territory into Silla-To and Maegeum-To. Goguryeo did not acknowledge the establishment of Silla's territory centered on Maegeum. From the mid-5th century, Silla gradually strengthened its control over major transportation routes and local forces within Silla-To. Consequently, Goguryeo erected the monument to reflect on its past relationship with Maegeum of Silla, and described Silla-To and Maegeum-To separately. Goguryeo unilaterally declared its intention to restore influence over Silla-To, but Silla-To was reorganized into Maegeum's governance system. In summary, Silla's separation from Goguryeo after the mid-5th century was due to the strengthening of Silla's governance system over the local forces that Goguryeo defined as ‘Silla-To’. The terms ‘Silla-To’ and ‘Maegeum-To’ in the Goguryeo Monument at Chungju were established within the context of these chang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countries.

Ⅰ. 머리말

Ⅱ. 비문에 나타난 영토 관련 용어 검토

Ⅲ. 신라의 지방지배 방식과 新羅⼟・寐錦⼟의 의미

Ⅳ. 麗羅 관계 변화와 비의 건립

Ⅴ.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