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상공인의 성공적인 경영활동을 위한 교육과정 개발 및 활용의 정책 방향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olicy direction of development and utilization of curriculum for successful management activities of small enterprises
본 연구는 소상공인 정책 중 교육 정책에 대한 활용성을 제고하기 위하여 교육과정의 개발 필요성을 제시하고 체계적인 교육과정 운영을 통해 소상공인 경영활동에 기여할 수 있는 정책 체계를 구축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진입장벽이 낮은 만큼 많은 사람들이 소상공인의 전환을 고려할 수 있으나, 그 고려의 수 만큼 소상공인의 창·폐업은 매우 빈번하다. 특히 준비 과정에 큰 시간을 할애하지 않는 경우 더욱 심각하다. 또한 많은 고려를 하고 시장에 진입하더라도 소기업으로 성장하는 경우는 소수이기 때문에 창업과 동시에 퇴로에 대해서도 사전적으로 고려해야하는 문제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소상공인 정책 중 교육 정책 개발을 통해 소상공인 전반에 대한 학습을 체계적으로 제공하고자 한다. 교육의 체계적인 제공을 통해 소상공인과 소상공인을 고려하는 주체 전반에 그 현황을 구체적인 교육을 통해 제공하여 소상공인 경영활동 성과에 기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현재 소상공인 정책이 지닌 특성과 교육 정책의 운영 현황을 살펴보고 소상공인이 아닌 성인학습자에게 유효하게 적용할 수 있는 교육 정책인지의 여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와 함께 소상공인의 창업-성장-재기의 생애주기별로 기업가형과 생계형으로 나누어 교육목표를 설정하고 교육내용을 선정하였으며, 그 내용을 기초-심화-응용의 수준별로 제시한 교육과정의 기초 틀을 제안함으로써 소상공인의 성공적인 경영활동을 위한 기반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This study aims to systematically provide learning opportunities for small enterprises through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policies targeted at small enterprises. Additionally, it seeks to establish a policy framework that supports the business activities of small enterprises through the systematic operation of educational programs. Given the low entry barriers, many people may consider transitioning to small enterprises. However, frequent occurrences of business startups and closures are observed, especially when insufficient time is dedicated to preparation. Even with thorough consideration and market entry, only a few businesses grow into small businesses, necessitating preemptive planning for exit strategies alongside startup efforts. By providing systematic education, this study aims to deliver detailed knowledge about the current status to both small enterprise and those considering entering the small enterpris sector, thereby contributing to the success of their business activities. To this end, the study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current small enterprise policies and the current status of educational policy implementation, with the goal of determining whether these policies are effectively applicable to both small enterprises and general adult learners. A basic framework for the curriculum was proposed by setting the educational goals and contents according to each period of start-up-growth-rehabilitation for small enterprises and presenting the contents by level of basic-in-depth-application. As a result, the study seeks to establish a foundation for the successful business activities of small enterprises.
Ⅰ. 서 론
Ⅱ. 기존 연구와 정책 방향에 대한 고찰
Ⅲ. 소상공인 교육 정책의 정책 방향성의 고찰
Ⅳ. 논 의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