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문화유산 관광품질(HISTOQUAL)이 지각된 가치와 태도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Korean Cultural Heritage Tourism Quality (HISTOQUAL) on Perceived Value, Attitude, and Behavioral Intention

  • 134
융합관광콘텐츠연구 제10권 제2호.jpg

목적: 본 연구에서는 문화유산 관광품질(HISTOQUAL)이 지각된 가치 및 태도에 미치는 정(+)의 영향과 지각된 가치가 태도와 행동의도, 그리고 태도가 행동의도에 미치는 정(+)의 영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방법: 실증적 연구를 위해 국내 문화유산 관광지를 방문한 경험이 있는 일반 관광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비 대면 방법으로 실시한 설문지217부가 실증분석에 사용되었다. 결과: 요인분석 결과 문화유산 관광품질(HISTOQUAL)은 유형성, 반응성, 소통성, 편의성, 진정성, 교육성으로 분류되었고, 지각된 가치, 태도, 행동의도는 각각 단일차원으로 구분되었다. 가설검증 결과 문화유산 관광품질(HISTOQUAL) 구성요인인 편의성, 진정성, 교육성은 지각된 가치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유형성, 반응성, 소통성은 지각된 가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문화유산 관광품질(HISTOQUAL) 구성요인인 유형성, 소통성, 편의성, 진정성, 교육성은 태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반응성은 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결국 전반적으로 문화유산 관광품질(HISTOQUAL)에 대한 평가가 높을수록 관광객의 지각된 가치와 태도가 좋아지고, 지각된 가치와 태도가 좋을수록 행동의도가 좋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Purpose: In this study, we sought to verify the positive impact of cultural heritage tourism quality (HISTOQUAL) on perceived value and attitude, the positive impact of perceived value on attitude and behavioral intention, and the positive impact of attitude on behavioral intention. Methods: For empirical research,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general tourists who had visited domestic cultural heritage tourist attractions. 217 questionnaires administered through a non-face-to-face method were used for empirical analysis. Results: As a result of factor analysis, cultural heritage tourism quality (HISTOQUAL) was classified into tangibility, responsiveness, communication, convenience, authenticity, and education, and perceived value, attitude, and behavioral intention were each classified into a single dimension. As a result of the hypothesis testing, convenience, authenticity, and education, which are components of cultural heritage tourism quality (HISTOQUAL),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n perceived value, while tangibility, responsiveness, and communication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perceived value. In addition, the cultural heritage tourism quality (HISTOQUAL) components of tangibility, communication, convenience, authenticity, and education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attitude, while responsiveness was found to have no significant effect on attitude. Conclusion: In the end,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overall evaluation of cultural heritage tourism quality (HISTOQUAL), the better the tourist's perceived value and attitude, and the better the perceived value and attitude, the better the behavioral intention.

1. 서론

2. 이론적 고찰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