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수학과 교육과정 개정의 어려움에 대한 성찰: 초등학교 통계교육의 변화를 위한 시도와 좌절을 회고하며

Reflections on the Challenges of Revising the Mathematics Curriculum: A Review of Some Struggles to Improve Elementary Statistics Education

  • 84
커버이미지 없음

필자는 2022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시안 개발에 연구진으로 참여했던 경험에 관하여, 자문화기술지의 형식을 빌어 수학과 교육과정 개정의 어려움에 대한 성찰적 논의를 시도한다. 초등학교 자료와 가능성 영역에서 필자가 노력했던 몇 가지 시도들이 어떠한 배경에 의해 이루어진 것인지를 논하고, 필자의 주장이 기각되는 과정을 통해 교육과정 개정을 어렵게 하는 요인이 무엇인지에 대해 탐색한다. 네 가지 일화를 통해 수학과 교육과정을 개정하는 데 발현되는 어려움으로 교육과정 해석의 비일관성과 암묵적 교육과정의 존재성 문제를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교육과정 개정에 참여했던 필자의 노력이 교육과정의 본성을 제대로 탐구한 상태에서 이루어진 것인지 반성하고, 향후 연구자로서 교육과정 개정의 어려움에 어떻게 대처할 수 있을지 논한다.

In this reflection on my experience as a member of the research team involved in the development of the 2022 revised mathematics curriculum, I offer a reflective discussion of the difficulties of curriculum revision in the form of an autoethnography. I discuss the background to some of my struggles to change the elementary school statistics curriculum, and explore what makes curriculum revision difficult through the process of having my arguments rejected. Through four episodes, I identify inconsistencies in curriculum interpretation and the existence of an implicit curriculum as difficulties in revising the mathematics curriculum. In doing so, I reflect on whether my curriculum revision efforts were based on a proper exploration of the nature of the mathematics curriculum, and to discuss how we as researchers can deal with the difficulties of curriculum revision in the future.

Ⅰ. 서론

Ⅱ. 본론

Ⅲ. 결론

참고문헌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