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동유럽발칸연구 제48권 3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상실’과 ‘저항’: 두브라프카 우그레시치의 포스트유고슬라비아 에세이즘과 그 함의

‘Loss’ and ‘Resistance’: The Implications of the Essayism of the Post-Yugoslav Essayistic Writings by Dubravka Ugrešić

DOI : 10.19170/eebs.2024.48.3.85
  • 124

현대 크로아티아 문학의 대표 작가 중 한 명으로 2023년 초 숙환으로 운명한 두브라프카 우그레시치(Dubravka Ugrešić, 1949~2023)에게 에세이 문학은 그녀가 1990년대 초 정치적 망명을 떠난 이후 창작의 새로운 중심 영역으로 자리 잡은 중요한 장르이다. 우그레시치의 에세이즘을 아우르는 두 키워드는 ‘상실(gubitak)’과 ‘저항(otpor)’이며, 이는 구체적으로 다섯 개의 주제로 표현된다. 첫 번째 주제는 사라진 유고슬라비아에 대한 노스탤지어와 상실의 아픔, 유고연방 해체 후 발칸 서부에 새로 출범한 독립 국가들의 옛 유고슬라비아 역사와 문화적 기억에 대한 조작과 말살, 이 지역에 발흥한 민족주의 이데올로기와 파시즘 정치에 대한 고발과 비판에 바쳐져 있다. 두 번째 주제는 포스트공산주의 시대 발칸 서부 사회의 현실에 대한 미시적 관찰과 관련되어 있다. 세 번째 주제는 옛 유고슬라비아를 포함한 동유럽과 서유럽의 관계와 상호인식, 그리고 망명, 난민, 이주노동 현상과 이로 인한 유럽 사회 내부의 변화에 대한 고찰에 바쳐져 있다. 네 번째 주제는 오늘날 문학의 달라진 위상에 대한 평가, 포스트공산주의 시기 발칸 서부 지역 문학과 작가의 동향, 보수적 민족문학에 대한 대안이자 새로운 문학적 흐름으로서의 트랜스내셔널 문학 현상에 관한 성찰과 관련되어 있다. 다섯 번째 주제는 크로아티아를 포함한 발칸 서부 지역의 남성중심주의와 여성혐오문화에 대한 페미니즘적 시각에서의 비판에 할애되어 있다. 이상의 주제를 다루는 우그레시치의 에세이즘은 반복적으로 사용되는 주요 서사적 장치를 통해 가벼운 문화비평에서 급진적인 페미니즘 비평과 신랄한 정치평론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어조와 스타일로 표현되며, 옛 유고 지역 사회를 구심점으로 전지구적으로 관찰되는 ‘후마니타스(인간다움)’의 위기를 비판적으로 조망하고 있다. 망명 작가로서의 실존적 체험에서 기원한 우그레시치의 에세이즘은 오늘날 여전히 진행 중인 전환기 포스트공산주의 현실에 대한 진지한 성찰과 대안의 모색을 촉구하는 복합적 담론으로 정의될 수 있다.

This research is devoted to the exploration of the implications of the Post-Yugoslav essayistic writings(Post-jugoslavenska esejistička proza) by Dubravka Ugrešić, one of the major contemporary female writers in Croatia through the analysis of their main themes and narrative features. It is the genre of essay that came to the fore in her literary works after she chose to live as an exiled writer. On the whole, it is the feeling of ‘loss’(gubitak) and the attitude of ‘resistance’(otpor) that underlie her essayistic writings, which are subsequently classified into five groups from the thematic points of view as follows. The first one is related to the nostalgic feeling of loss from the disappearance of Yugoslavia and includes those essays that criticize the confiscation and manipulation of the historical memories of ex-Yugoslavia in the new nation states that came to being after the disintegration of SFRY and during the outbreak of the Yugoslav interethnic violences and civil wars. The second group comprises the essays that provide the microscopic observations on the current situations in the Western Balkans in the transitional post-communist period. The third group of essayistic writings addresses the mutual recognitions between the East and the West of Europe, and the changes in recent Europe, caused by refugees and labour migration. The fourth group of essays examines the current status of literature including those ones and their writers in the Western Balkans and emphasizes the necessity of the proper consideration of the transnational literature as an alternative to the conservative national literatures, which have relied on the exclusive nationalistic cultures and have contributed to the identity politics. The fifth group of essays in Ugrešić’s oeuvre is related with the feministic criticism of patriarchal culture and misogyny in the Western Balkans. Based on the frequently repeated narratological elements, the above-mentioned themes are expressed through the authorial colorful tones and writing styles from the writings in fragments and short manifestoes to the long sarcastic feminist critiques and serious political interpretations with the view of diagnosing the crises of humanness(humanitas) from the Western Balkan countries to the West European societies. Ugrešić’s essayism originated from her diverse existential experiences as an exiled writer, and therefore needs to be considered as the heterogeneous and multilayered discourses that lead the readers to the deep contemplation and seeking solutions to the frustrating circumstances after the collapse of the communist countries.

1. 들어가는 말

2. 우그레시치 에세이즘의 주제 분석

3. 우그레시치 에세이즘의 서사적 특징

4. 맺는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