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자원환경지질 57권 4호.jpg
SCOPUS 학술저널

중력장 및 자기장 해석에 따른 풍암분지 일원 금왕단층의 지구조적인 변위

Displacement of Geumwang Fault around the Pungam Basin Observed by Gravity and Aeromagnetic Field Interpretation

DOI : 10.9719/EEG.2024.57.4.363
  • 13

금왕단층의 지구조적인 운동과 풍암분지 발달의 연관성을 분석하기 위해 지상측정 중력장 및 항공측정 자기장 분포를 해석하였다. 금왕단층 일원의 낮은 중력이상대는 비대칭적인 분포를 보이며 단층의 좌측부가 남동쪽으로 이동한 좌수향 주향이동을 지시한다. 관측된 중력이상도에서 측정한 이동 변위는 약 9.3㎞ 정도이다. 항공 자기장 분포는 중력장 해석에서 나타난 약 9.3㎞ 정도의 수평 변위를 지지하는 매우 뚜렷한 자기장 특징을 보인다. 오일러 디콘볼루션(Euler deconvolution) 방식으로 계산한 금왕단층의 평균 깊이는 약 1,000 m이며, 풍암분지 남서쪽이 북동쪽과 비교하면 약 700 m 정도 더 깊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는 금왕단층이 주향이동뿐 아니라 경사 방향으로 움직였다는 것을 강력하게 시사하며, 이와 같은 단층의 변위는 힌지단층의 특징을 나타내며 단층경계함몰(fault margin sag)에 의한 분지 형성에 기여한 것으로 판단된다.

To analyze the tectonic movements of the Geumwang Fault and its association with development of the Pungam Basin, the distributions of the gravity field and aeromagnetic field were interpreted. The low gravity zone (LGZ) around the Geumwang Fault shows an asymmetrical distribution, indicating sinistral (left-lateral) movement with the left side of the fault moving southeastward. The observed gravity anomaly suggests a displacement of approximately 9.3 km. The aeromagnetic distribution supports this horizontal displacement with very distinct magnetic characteristics. Using Euler deconvolution, the average depth of the Geumwang Fault was calculated to be about 1,000 meters, and it is estimated that the southwest side of the Pungam Basin is approximately 700 meters deeper than the northeast side. This strongly suggests that the Geumwang Fault has moved not only in a strike-slip but also in a dip direction. Such fault movement is characteristic of a hinge fault and has contributed to the formation of the basin through fault margin sag.

1. 서 언

2. 연구지역

3. 중력장 해석

4. 항공 자기장 해석

5. 토의 및 결론

Acknowledgement

Reference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