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에서 유통되는 천연 석재 시장의 거래내역을 통해 석재산업의 수요 공급 현황과 지역별 유통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천연 석재의 수요는 전세계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나 국내 석재 생산업체들은 저가 석재의 유입으로 경영 악화를 겪고 있으며, 정부는 국내 석재 사용 의무화 등 다양한 지원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조달청의 천연 석재 거래 내역을 분석한 결과, 화강암이 주요 암석으로 확인되었다. 주요 거래 품목은 자연석경계석과 자연석판석으로 나타났으며, 2017년부터 2021년까지 연평균 거래금액은 약 3,128억 원에 달했다.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 석재 유통은 수도권이 높은 수요를 보이는 지역인 반면 비수도권은 주요 공급지로 나타나는데, 특히 경기도 포천시, 전라북도 익산시, 경상남도 거창군 등은 주요 석재 공급지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국내 석재 산업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해 지역 특성에 맞는 석재산업 육성과 유통 경로의 다양화 그리고 지속 가능한 공급망 구축을 제안하며, 정부, 업계, 연구기관 간의 긴밀한 협력과 지원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supply and demand trends and regional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the stone industry through transaction records of the domestic natural stone market. The demand for natural stone is increasing globally, but domestic stone producers are facing financial difficulties due to the influx of low-cost stone, and the government is implementing various support policies, such as mandating the use of domestic stone. However, the influx of low-cost stones has led to management deterioration for domestic stone producers, prompting the government to implement various support policies such as mandating the use of domestic stones. An analysis of the natural stone transaction records from the Public Procurement Service revealed that granite was the main type of rock. The main trading items were natural stone curbs and natural stone slabs, with an average annual transaction amount of approximately 312.8 billion KRW from 2017 to 2021. A comparison of the stone distribution status between the metropolitan area and non-metropolitan areas showed that the metropolitan area had high demand, while non-metropolitan areas served as major supply sources. Cities such as Pocheon in Gyeonggi-do, Iksan in Jeollabuk-do, and Geochang in Gyeongsangnam-do play important roles as major stone suppliers.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proposes fostering the stone industry tailored to regional characteristics, diversifying distribution channels, and establishing a sustainable supply chain fo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the stone industry. Additionally, it emphasizes the need for close cooperation and support among the government, industry, and research institutions.
1. 서 론
2. 연구 방법
3. 연구결과
4. 토 의
5. 결 론
사 사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