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생명연구 제73집.jpg
KCI등재 학술저널

포더의 프레임 문제

Fodor’s Frame Problem

DOI : 10.17924/solc.2024.73.113
  • 34

본 논문에서는 인간 정신의 작동 방식에 관한 두 가지 입장인 고전적 계산주와 연결주의를 포더의 프레임(frame) 문제를 중심으로 비교, 고찰해 보고자 한다. 고전적 계산주의와 연결주의는 현대 인공지능 기술의 이론적 기초를 제공하는 인지과학 철학의 가장 중요한 두 이론이다. 프레임 문제는 인간이 어떻게 합리적인 비증명 추론을 할 수 있는지에 대한 인지과학적 설명을 제시하는 문제로서, 포더는 이 문제를 인간 이성의 합리성에 관한 문제라고 본다. 그런데 포더는 자신의 고전적 계산주의 이론도 그 이론의 대안적 이론으로 제시된 연결주의 이론도 프레임 문제를 해결하지 못한다고 주장한다. 본 논문에서는 포더의 고전적 계산주의 이론이 프레임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는 이유를 설명한 후, 포더의 주장과는 달리 연결주의는 프레임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고 주장할 것이다.

In this paper, I endeavor to compare classical computationalism with connectionism with regard to the frame problem. Being two most prominent theories in philosophy of mind and cognitive science, classical computationalism and connectionism helped to lay foundations for contemporary artificial intelligence. The frame problem is concerned with unfolding the cognitive principles in terms of which human intelligence conducts non-demonstrative inferences. In this sense, Fodor regards the frame problem as the problem of human rationality. To our surprise, Fodor contends that neither classical computationalism nor connectionism can help to solve the frame problem. Partly agreeing with Fodor, I will attempt to explain why classical computationalism is short for dealing with the frame problem. Disagreeing with Fodor, however, I will argue that the prospect of connectionism with regard to the solution of the frame problem is good.

I. 서론

II. 프레임 문제 (The Frame Problem)

III. 프레임 문제와 고전적 계산주의

IV. 프레임 문제와 연결주의

V.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