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스트레스가 자해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사회적 지지에 의한 불안의 조절된 매개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자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2021년 10대 청소년의 정신건강 실태조사’ 데이터 중 초중고 재학생 5,937명이며 Macro Process for SPSS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트레스와 자해행동 간의 관계에서 불안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불안은 스트레스가 자해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매개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매개변수인 불안의 간접효과 유의성 검증을 위해 부트스트래핑 분석을 실시한 결과에서도 매개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둘째, 매개변수인 불안과 종속변수인 자해행동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가 조절 역할을 하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조절효과 분석을 실시한 결과, 사회적 지지가 불안과 자해행동 간의 관계를 설명함에 있어 조절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소년의 스트레스가 자해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사회적 지지에 의한 불안의 조절된 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한 결과, 청소년의 스트레스가 자해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사회적 지지에 의한 불안의 조절된 매개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의 자해행동을 줄이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스트레스를 관리하고 불안을 낮추며 사회적 지지 체계를 확대해 나갈 필요가 있다는 것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a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anxiety through social support in the process of stress influencing self-injury behavior.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5,937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from the Korea Youth Policy Institute's ‘2021 Mental Health Survey of Teenagers’ data, and the adjusted mediation effect was verified using the Macro Process for SPSS program.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mediating effect of anxie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self-injury behavior, it was confirmed that anxiety has a mediating effect in the process of stress affecting self-injury behavior. The results of a bootstrapping analysis to verify the significance of the indirect effect of anxiety, a mediator, showed that the mediation effec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as a result of conducting a moderating effect analysis to determine whether social support plays a moder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nxiety, which is a mediating variable, and self-injury behavior, which is a dependent variable, it was found that social support has a moderating effect in expla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nxiety and self-injury behavior. appear.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anxiety through social support in the process of adolescent stress influencing self-injury behavior, the results showed that anxiety was moderated by social support in the process of adolescent stress influencing self-injury behavior. The effect was found to be significant. Based on these results, we proposed measures to manage stress, reduce anxiety, and expand the social support system as part of an effort to reduce self-injury behavior in adolescents.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