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역사문화연구 제91집.jpg
KCI등재 학술저널

메이지시기에 발행된 조선지도와 국경

Maps of Korea and Their Borders Published During the Meiji Era Japan

DOI : 10.18347/hufshis.2024.91.83
  • 3

이 논문은 메이지시기에 발행된 조선지도를 국경선의 형태에 따라 분류하고 그 특징을 살펴본 것이다. 메이지시기에 발행된 조선지도는 102건이다. 그 발행 시기는 운요호사건, 임오군란, 청일전쟁, 러일전쟁, 경술국치 등 한일관계상 중요한 시기에 집중된다. 조선지도는 국경선의 형태에 따라 5가지로 구분된다. 흑룡강 이남 만주지역을 포함시킨 A형 지도(6건)는 운요호사건 이전에만 발행되었다. 압록강·두만강 대안의 봉금지역을 포함시킨 B형 지도(8건)는 청일전쟁까지만 발행되었다. A·B형 지도는 압록강·두만강 이북지역까지 확장된 조선의 영토인식이 반영된 것이다. 압록강·백두산·두만강을 국경으로 표현한 C형 지도(40건)는 보다 정확한 지형정보가 수록된 조선후기 지도를 받아들인 결과로, 메이지시기 대표적인 조선지도로 활용되었다. 백두산을 제외시킨 D형 지도(16건)는 임오군란 직후부터 러일전쟁 발발 직후까지만 발행되었으며 동북아지도의 조선부분으로 많이 채택되었다. 간도가 조선영토로 포함된 E형 지도(32건)는 1894년부터 시작하여 러일전쟁기에 집중되다가 이후 1910년까지 지속적으로 발행되었다. 러일전쟁 전후로 이 지도가 집중적으로 발행된 것은 만주진출을 목표로 삼았던 일본에서 간도에 대한 관심이 그만큼 컸기 때문이다. 메이지유신 이후 일본에서 정한론의 부상으로 조선지도에 대한 수요가 급증했다. 그러나 직접 조사한 지리정보가 축적되지 않은 상황에서 이전에 수집했던 조선의 고지도를 재편집·수밖에 없었다. 이후 일본은 조선에 대해 직접 조사를 지속적으로 수행한 결과, 청일전쟁 전후로 조선의 국경에 대한 인식을 좀더 명확하게 할 수 있었다.

This study categorizes and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maps depicting Korea published during the Meiji era, focusing on the representation of borders. Approximately 100 such maps were published during this period, with publication peaks coinciding with significant events in Japan-Korea relations, such as the Unyō Incident, the Imo Mutiny, the Sino-Japanese War, the Russo-Japanese War, and the Japan-Korea Annexation Treaty. The maps of Korea published in Japan during this era can be classified into five types based on their border representations. Type A maps, which include the Manchurian region south of the Heilong (Amur) River, were only published before the Unyō Incident. Type B maps, incorporating neutral zones on the opposite shores of the Yalu and Tumen Rivers, were published only until the Sino-Japanese War. Both A and B type maps reflect an extended territorial perception of Korea north of the Yalu and Tumen Rivers. Type C maps, depicting the Yalu River, Mount Baekdu, and the Tumen River as borders, became the predominant representation of Korea during the Meiji era. These maps reflected more accurate topographical information from late Joseon period maps adopted by Japan. Type D maps, which exclude Mount Baekdu, were published from immediately after the Imo Mutiny until shortly after the outbreak of the Russo-Japanese War. They were frequently used in Northeast Asian maps to represent Korea. Type E maps, including Gando 間島 as Korean territory, began to appear in 1894 and were published intensively during the Russo-Japanese War period, continuing until 1910. The concentrated publication of these maps around the Russo-Japanese War reflects Japan’s growing interest in Gando as it aimed to advance into Manchuria. The surge in demand for maps of Korea followed the rise of Seikanron (the “Conquest of Korea” debates) after the Meiji Restoration. Initially, due to insufficient geographical data from direct surveys, Japan had to rely on re-edited versions of previously collected historical Korean maps. As Japan conducted more direct surveys of Korea, their understanding of Korean borders became clearer, particularly around the time of the Sino-Japanese War.

Ⅰ. 머리말

Ⅱ. 메이지유신 이후 조선지도의 수요와 발행

Ⅲ. 조선지도의 국경 유형 분류

Ⅳ. 조선지도의 국경 유형별 특징

Ⅴ.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