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한국지적학회지 제40권 제2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토지경계 관리를 위한 메타버스의 구현 및 적용

Implementation and Application of a Metaverse for Land Boundary Management

DOI : 10.22988/ksc.2024.40.2.001

본 연구에서는 실험지역을 대상으로 메타버스를 구현하고, 토지경계 매핑 등의 정확도 분석을 통해 토지경계 관리의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실험지역의 3D 모델링 영상을 구현 후, 3D 모델링 영상을 기반으로 메타버스를 구현하여 정확도를 분석하였다. 3D 모델링 영상자료의 RMSE 분석결과, X=±0.006m, Y=±0.008m, 연결오차=±0.010m로 나타나 이용이 가능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구현한 메타버스의 음영지역을 제외한 RMSE 분석결과, X=±0.170m, Y=±0.168m, 연결오차=±0.239m로 나타나 메타버스의 적용이 가능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메타버스 공간에서 토지경계 매핑 결과, 실험지역 전반적으로는 매핑이 양호하여 적용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일부 육안으로 토지경계의 위치 파악이 어려운 경계점에 대해서는 매핑에 한계성이 있어 향후 이에 대한 기술적 보완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In this study, we implemented a metaverse targeting an experimental area and attempted to present the possibility of land boundary management through accuracy analysis of land boundary mapping. For this purpose, we implemented a 3D modeling image of the experimental area and then implemented a metaverse based on the 3D modeling image to analyze the accuracy. As a result of RMSE analysis of the 3D modeling image data, X=±0.006m, Y=±0.008m, and connection error=±0.010m, indicating that it can be used. In addition, the RMSE analysis results excluding the shaded area of the implemented metaverse, X=±0.170m, Y=±0.168m, connection error=±0.239m, showing that metaverse can be applied. As a result of land boundary mapping in the metaverse space, the mapping was good overall in the experimental area, confirming applicability. However, there are limitations in mapping at some boundary points where it is difficult to determine the location of the land boundary with the naked eye, so technical supplementation is needed in the future.

1. 서 론

2. 메타버스 및 토지경계 관리

3. 실험 및 분석

4. 결 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