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제주 출향 해녀의 활동을 조사·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해녀 활동에 대한 지적학적 함의가 무엇인가를 제시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효율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연구대상을 국내 최고령 해녀인 제주 출향 해녀 김화순으로 하였다. 연구범위로서 시간적 범위는 김화순 해녀가 태어난 1921년부터 현재까지로 하고, 공간적 범위는 김화순 해녀가 활동한 제주도, 군산, 부산, 속초, 울릉도, 독도, 제천을 중심으로 하였다. 내용적으로는 김화순 해녀를 중심으로 해녀 활동에 대한 지적학적 함의가 무엇인가를 제시하는 것이었다. 연구방법으로 조사방법은 문헌조사법과 인터넷조사법을 병행하였으며, 분석방법은 기술적 분석방법(記述的 分析方法)을 사용하였다. 이상과 같은 방법으로 연구를 수행한 결과, 해녀 활동은 초년기의 하군 활동, 성숙기의 상군 활동, 노년기의 하군 활동으로 분류되었다. 이러한 해녀 활동은 해지를 먼바다, 앞바다로 구분하여 경계를 설정하고, 미역짬 등의 이름과 권리, 위치·크기·모양 등을 조사하여 관리하는 실체적 지적활동을 의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activities of a Jeju-born Haenyeo and to suggest cadastral implications of her activities. In order to efficiently achieve these research objectives, the research subject is targeted at Kim Hwa-soon, the oldest Haenyeo from Jeju, Korea. The temporal scope of the study is from 1921, when Haenyeo Kim Hwa-soon was born, to the present, and the spatial scope is centered on Jeju Island, Gunsan, Busan, Sokcho, Ulleungdo, Dokdo, and Jecheon, where Haenyeo Kim Hwa-soon was active. The content is to present the cadastral implications of Haenyeo activities mainly with Kim Hwa-soon. As for the research methods, both literature review and internet research methods were adopted, and the analysis method used descriptive analysis method. As a result of the research conducted in the manner described above, Haenyeo activities were categorized into lower-level activities in the early years, upper-level activities in the mature years, and lower-level activities in the old age. These Haenyeo activities were found to have the implication of the substantive cadastral activities by investigating and managing names and rights related to seaweed beds, along with their locations, sizes, and shapes, etc while setting the boundaries by dividing the sea area into far seas and near seas.
1. 서 론
2. 이론적 고찰
3. 제주 해녀의 활동 실태 분석
4. 해녀 활동의 평가와 지적학적 함의
5. 결 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