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대학생의 학업스트레스, 음주 관련 지식이 음주거절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Nursing Students’ Academic Stress and Drinking-Related Knowledge on Drinking Refusal Self-efficacy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 (구.한국유화학회)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제41권 제4호
-
2024.081020 - 1030 (11 pages)
-
DOI : 10.12925/jkocs.2024.41.4.1020
- 103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학업스트레스, 음주 관련 지식 및 음주거절 자기효능감 간에어떠한 관련성이 있는지 살펴보고, 간호대학생의 음주거절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자는 C도 소재 J 대학에 재학하는 간호대학생 187명을 대상으로 2023년 9월 10일부터 2023년 10월 10일까지 연구 동의를 받은 후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SPSS/WIN 28.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변수의 특성에 따라 기술통계, t-test, ANOVA, Pearson’s 상관관계 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간호대학생의 음주거절 자기효능감은 음주 관련 지식(r=.21, p=.004)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학업스트레스(r=-.21, p=.005)와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간호대학생의 음주거절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학업스트레스(β=-.17, p=.016), 음주 관련 지식(β=.21, p=.003), 흡연 상태(β=.19, p=.008)로 확인되었으며, 회귀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F=8.30, p<.001), 설명력은 11.0%였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간호대학생들의 음주거절 자기효능감을 높이기 위해 학업스트레스를 줄이고 음주 관련 지식을 높일 수 있는 프로그램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대학생의 금연을 도울 수 있는 전략을 프로그램에 포함한다면 음주거절 자기효능감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을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tress, drinking related knowledge, and drinking refusal self-efficacy among nursing students, and to identify the influencing factors nursing students' drinking refusal self-efficacy. Data were collected from September 10, 2023 to October 10, 2023 after receiving informed consent from 187 nursing students enrolled in J University in C Provinc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OVA, t-test,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variables using the SPSS/WIN 28.0 program.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nursing students' drinking refusal self-efficacy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drinking-related knowledge (r=.21, p=.004)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academic stress (r=-.21, p=.005). The factors affecting the drinking refusal self-efficacy of nursing students were identified as academic stress (β=-.17, p=.016), drinking related knowledge (β=.21, p=.003), and smoking status (β=.19, p=.008), and the regression model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F=8.30, p<.001), with an explanatory power of 11.0%. Based on the above results,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program to reduce academic stress and increase drinking-related knowledge in order to improve the drinking refusal self-efficacy of nursing students. In addition, including smoking cessation strategies for college students in the program can help increase their drinking refusal self-efficacy.
1. 서 론
2. 연구방법
3. 결과 및 고찰
4. 결 론
References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