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대한지방자치학회.jpg
KCI등재 학술저널

유연근무제 활용 만족도가 업무성과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자녀 유무의 조절효과

A Study on the Effect of Satisfaction with the Use of Flexible Work System on Work Performanc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Presence or Absence of Children

DOI : 10.38134/klgr.2024.26.2.049
  • 28

본 연구는 공무원의 유연근무제 활용 만족도 수준이 업무성과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정량적 분석을 하고자 한다. 아울러, 유연근무제 활용 만족도와 업무성과 그리고 조직몰입 간의 관계에 있어 공무원의 자녀유무 변수가 갖는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연구가설을 통계적으로 검증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D 자치단체 공무원을 대상으로 통계 분석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대상인 D 자치단체 공무원은 모두 정규직 공무원이며 본청, 직속기관, 산하기관, 그리고 사업소 등이 포함되어 있다. 불충분한 응답지를 제외하고, 본 연구의 통계분석에 최종적으로 포함된 응답자의 수는 총 458명이다. 분석 결과, 유연근무제 만족도 수준은 업무성과 그리고 조직몰입 수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녀유무 변수는 상기 변수 간의 관계를 부분적으로 조절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유연근무제 활용 만족도 수준과 조직결과변수들 간의 정량적 관계 검증 그리고 인구통제변수 중의 하나인 자녀 유무 변수가 갖는조절효과 검증을 통해 본 연구는 국내 공공부문 유연근무제 연구의 이론적 확장에 기여할 것이다. 또한 본 연구의 통계분석을 통해 도출된 주요 분석 결과는 국내 공공기관 유연근무제도 설계와 집행 측면에서 보다 올바른 제도 정착과 적극적인 활용을 유인하기 위한 실무적 차원에서의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aims to conduct a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effect of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the use of the flexible work system of public officials on work performanc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addi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variable with or without children of public official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atisfaction with the use of the flexible work system, work performanc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order to statistically verify the research hypothesis, this study conducted statistical analysis on public officials of local government D. All public officials of local government D, which are the targets of this study, are regular public officials and include the main office, direct agency, affiliated agency, and business office. Excluding insufficient responses, the total number of respondents finally included in the statistical analysis of this study was 458.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the flexible work system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level of work performanc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addition, it was verified that the child-presence variable has the effect of partially moder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atisfaction with the flexible work system and work performance/organizational commitment.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theoretical expansion of the domestic public sector flexible work system by verifying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the use of the flexible work system, the quantitativ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outcome variables,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variable with or without children, one of the population control variables. In addition, the main analysis results derived from the statistical analysi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provide practical implications to induce more correct establishment and active use of the flexible work system in domestic public institutions in terms of design and execution.

Ⅰ. 서 론

Ⅱ. 이론적 고찰

Ⅲ. 연구가설과 연구설계

Ⅳ. 통계분석 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