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의사결정나무분석을 활용하여 소방공무원의 직무소진에 관한 결정요인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는 직무소진의 다양한 세부 요인을 고려하고자 전반적 직무소진뿐만 아니라 성취감 감소, 정서적 고갈, 자아감 상실로 구분하여 바라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2023년 11월 17일부터 12월 6일까지 설문조사를 통해 총 31명의 응답을 받았다. 활용 문항은 총 52문항이며, 여기에는 직무소진 11문항, 직무스트레스 24문항, 조직 공정성 14문항 그리고 조직몰입 3문항을 활용하였다. 의사결정나무분석 결과에서는 직무소진이 가장 높은 집단의 특성으로 조직 체계 요인과 조직 공정성 요인이 나타났다. 조직 체계 중 업무 회피 인식이 강한 집단일수록 성취감 감소와 정서적 고갈 그리고 전반적 직무소진이 높았으며, 상급 기관이나 상사로 받은 상반된 지시를 경험하며 힘들어하는 집단일수록 정서적 고갈과 전반적 직무소진이 높았다. 조직 공정성 요인에는 자신의 담당업무와 업무성과에 비추어 보수가 적절하지 않다고 인식하는 집단이 자아 상실감과 전반적 직무소진이 높은 결과를 보였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정책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방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를 해소할 프로그램 보강이 필요하다. 둘째, 업무성과에 따라 적절한 보상 체계 구축이 필요하다.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d the determinants of job burnout among firefighters using decision tree analysis. Furthermore, to consider the various detailed factors of job burnout, the study examined not only overall job burnout but also its subdivisions, including reduced sense of accomplishment, emotional exhaustion, and loss of self-identity. The decision tree analysis revealed that organizational system factors and organizational fairness factors we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group with the highest level of job burnout. Among organizational system factors, groups with a strong perception of task avoidance showed higher levels of reduced sense of accomplishment, emotional exhaustion, and overall job burnout. Additionally, groups experiencing conflicting instructions from higher authorities or supervisors exhibited higher levels of emotional exhaustion and overall job burnout. Regarding fairness factors, groups that perceived their compensation as inadequate relative to their duties and performance demonstrated higher levels of loss of self-identity and overall job burnout. Based on these findings, the policy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a need to enhance programs aimed at alleviating job stress for firefighters. Second, an appropriate compensation system should be established based on job performance.
Ⅰ. 서 론
Ⅱ. 이론적 고찰 및 선행연구 검토
Ⅲ. 연구 설계 및 방법
Ⅳ. 분석 결과
Ⅴ. 결론 및 정책적 함의
참고문헌